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( )
  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1. 유기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유기용제는 비수용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화합물이다. 
          ② 대부분의 유기용제는 실온에서 휘발되기 어렵다. 
          ③ 유기용제는 작업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다. 
          ④ 페인트 제거제, 부식제에 포함된 유기용제는 소량 노출되어도 위험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대부분의 유기용제는 실온에서 휘발되기 어렵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. 메탄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메탄올은 플라스틱과 필름 제조, 접착제와 잉크의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. 
          ② 메탄올에 중독되면 망막 세포가 손상되어 시력을 잃을 수 있다. 
          ③ 메탄올이 불순물로 포함된 술은 마셔도 해가 없다. 
          ④ 메탄올에 중독된 경우 독성을 줄이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할 수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메탄올이 불순물로 포함된 술은 마셔도 해가 없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. 화학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독성의 강도에 비례한다. 
          ②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농도에 비례한다. 
          ③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시간에 비례한다. 
          ④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시간과 무관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시간과 무관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.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위험물에는 위험성이 있는 화학 물질이 포함된다. 
          ② 위험성이 있는 화학물질에서 파생된 제품이나 도구 역시 위험물에 포함된다. 
          ③ 위험물은 인간의 생명, 신체, 재산 및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이다. 
          ④ 위험물은 특별한 관리나 규제가 필요 없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위험물은 특별한 관리나 규제가 필요 없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. 위험물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대부분 화학적, 물리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이다. 
          ② 물 또는 산소와 반응성이 좋다. 
          ③ 반응에 따른 발열량이 매우 낮다. 
          ④ 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반응에 따른 발열량이 매우 낮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6. 위험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대부분의 위험물은 가연성 물질이므로 연소성이 있다. 
          ② 방사성을 보이는 위험물은 세심하게 주의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③ 일부 위험물은 폭발성을 보이기도 한다. 
          ④ 일부 위험물은 화학적으로 독성을 보이기도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방사성을 보이는 위험물은 세심하게 주의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7. 인화성 물질을 취급할 때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담배를 피우면서 다루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② 불꽃과의 접근을 피한다. 
          ③ 고온의 물체와 접근을 피한다. 
          ④ 함부로 증기를 발생시키지 않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담배를 피우면서 다루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8. 가연성 가스 및 이의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가연성 가스는 폭발을 일으키면서 급격히 팽창하므로 위험하다. 
          ② 가연성 가스의 폭발은 충격적인 열과 압력을 발생시킨다. 
          ③ 가연성 가스는 산화에 의해 폭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. 
          ④ 가연성 가스는 비활성 가스 용기에 저장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가연성 가스는 비활성 가스 용기에 저장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9. 위험물 안전관리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위험물을 취급하는 업체에서는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. 
          ②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응급 조치를 취해야 한다. 
          ③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화재 발생 후 소방서에 연락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④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위험물 취급에 대한 일지를 작성해야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화재 발생 후 소방서에 연락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0. 위험물의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위험물의 쓰레기와 찌꺼기는 안전한 장소에 폐기하거나 적당한 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. 
          ② 위험물을 저장할 때 이물질을 섞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③ 위험물을 용기에 저장할 때에는 파손, 부식, 균열이 없도록 주의한다. 
          ④ 위험물이 남아 있는 설비를 수리할 때에는 안전한 장소에서 위험물을 완전히 제거 한 후 실시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위험물을 저장할 때 이물질을 섞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1. 위험물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위험물의 저장 용기를 겹쳐 쌓아 규정 높이를 초과해도 된다. 
          ② 위험물과 위험물이 아닌 물질과의 거리는 1 m 이상 유지한다. 
          ③ 위험물과 다른 종류의 위험물 사이의 거리는 1 m 이상 유지한다. 
          ④ 위험물 저장소는 다른 건축물과 안전거리를 유지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위험물의 저장 용기를 겹쳐 쌓아 규정 높이를 초과해도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2. 유해 화학 물질의 노출 시 대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공장에서 화학물질에 노출될 경우를 대비하여 적절한 치료와 처치 방법을 미리 파악 해야 한다. 
          ② 농약은 독성이 강한 화학물질이므로, 작업 중 노출될 경우 적절한 치료와 처리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. 
          ③ 공장에서 작업할 때 화학물질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법을 잘 지키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④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될 경우 응급 처치 후에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공장에서 작업할 때 화학물질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법을 잘 지키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3. 위험물의 종류 및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따라 위험물이 분류되어 있다. 
          ② 인화성 물질에는 인화성 고체, 인화성 액체와 인화성 기체가 포함된다. 
          ③ 인화성 액체는 초기 비점이 섭씨 35도 이하인 물질이다. 
          ④ 대한민국에서는 위험물질의 위험 등급에 따라 위험물을 분류하지는 않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대한민국에서는 위험물질의 위험 등급에 따라 위험물을 분류하지는 않는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4. 가스 상태의 유해물질을 고려할 때 이러한 유해물질의 유해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①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가스와 증기가 포함된다. 
          ②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분진이 포함된다. 
          ③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소음이 포함된다. 
          ④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명칭이 포함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명칭이 포함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5. 유해화학물질 중 자기반응성 물질(self-reactive substance) 취급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저장 용기의 파손 및 균열에 주의하고 누출을 방지한다. 
          ② 직사광선을 피하고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. 
          ③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장소에 저장한다. 
          ④ 눈이나 피부에 접촉 시 중성세제나 다량의 물로 씻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장소에 저장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6. 위험물 중 특수가연물의 저장 기준에는“쌓는 부분의 바닥 면적이 50m2 이하가 되도록 할 것”이 있다. 바닥에 특수가연물을 쌓을 때 가로를 5m로 한다면, 세로는 얼마인가?
          
          ① 5m 
          ② 12m 
          ③ 15m 
          ④ 5km 
          
Right Ans:- ① 5m 
          
          Q. 17. 화학물질의 위험성이 많고 적음은 <위험성=독성강도×노출농도×노출시간> 으로 표시할수있다. 독성의강도가1일때위험성이가장큰경우는? 
          ① 노출 농도가 1, 노출 시간이 1인 경우 
          ② 노출 농도가 0.5, 노출 시간이 2인 경우 
          ③ 노출 농도가 0.25, 노출 시간이 4인 경우 
          ④ 노출 농도가 0.125, 노출 시간이 9인 경우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노출 농도가 0.125, 노출 시간이 9인 경우 
          
          Q. 18. 위험물과 비위험물의 설명에 대해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위험물은 인간의 생명, 신체, 재산과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화학물질로 관리나 규제가 필요한 것이다. 
          ②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위험물은 인화성과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면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질이다. 
          ③ 비위험물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적용받지 않는 유해화학 물질이다. 
          ④ 비위험물을 다룰 때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비위험물을 다룰 때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.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제 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에 해당된다. 인화성 액체에 포함되지 않는 위험물은? 
          ① 제 1 석유류 
          ② 알코올류 
          ③ 동식물 유류 
          ④ 철분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철분 
          
          Q. 20. 다음 그림은 ‘호흡기과민성, 발암성, 생식세포 변이원성, 생식독성, 특정표적장기독성’을 의미한다. 이러한 그림이 있는 화학물질을 취급할 때, 주의할 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            
 
 
          ① 호흡기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, 냄새를 맡지 않는다. 
          ② 발암성이 있으므로, 피부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. 
          ③ 장기에 독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, 먹지 않는다. 
          ④ 호흡기에만 유해한 물질이므로, 피부에 노출되어도 씻어낼 필요는 없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호흡기에만 유해한 물질이므로, 피부에 노출되어도 씻어낼 필요는 없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1. 작업장에 있는 어떤 화학물질에 다음 두 개의 그림문자가 붙어 있다. 이 화학물질은 무엇인가? 
 
 
          ① 산화성 액체 
          ② 산화성 고체 
          ③ 산화성 가스 
          ④ 독성 가스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산화성 가스 
          
          Q. 22. 우라늄의 노출 기준(TWA)이 0.2 mg/m3 인 것과 관련하여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인체가 우라늄에 노출되어도 별 탈이 없음을 의미한다. 
          ② 인체가 우라늄에 노출되면 무조건 사망하게 됨을 의미한다. 
          ③ 어떤 곳에 0.2 mg/m
3의 우라늄이 존재하면 사망함을 의미한다. 
          ④ 1일 작업시간 동안 0.2 mg/m
3 미만의 우라늄에 노출되면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이 없음을 의미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1일 작업시간 동안 0.2 mg/m3 미만의 우라늄에 노출되면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이
              없음을 의미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3. 페닐 포스핀의 노출 기준은 0.025 mg/m3로써 이것은 최고노출 기준으로 C값이 라고도 표기한다.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
          ① 인체가 페닐 포스핀에 노출되어도 별 탈이 없음을 의미한다. 
          ② 인체가 페닐 포스핀에 노출되면 무조건 사망하게 됨을 의미한다. 
          ③ 어떤 곳에 0.025 mg/m
3의 페닐 포스핀이 존재하면 사망함을 의미한다. 
          ④ 1일 작업시간 동안 페닐 포스핀에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기준이 0.025 mg/m
3 이라는 의미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1일 작업시간 동안 페닐 포스핀에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기준이 0.025 mg/m3 이라는
              의미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4. 유해 요인은 물리적, 화학적, 생물학적, 인간공학적 요인으로 분류가 가능하다. 화학적 유해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① 소음 및 진동 
          ② 가스와 증기 등 기체 
          ③ 액체 
          ④ 고체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소음 및 진동 
          
          Q. 25. 유리 세척 용액에는 암모니아가 함유되어 있다. 실험실에서 이 세척 용액병을 사용 하던 중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려 깨졌다. 이러한 화학물질의 유출에 대한 대응으로 잘못된 것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NaOH가 포함된 표백제로 닦아낸다. 
          ② 누출된 암모니아 기체는 유독하므로, 마스크를 착용한다. 
          ③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려서 주의하도록 한다. 
          ④ 깨진 유리병은 위험하므로, 맨손으로 줍지 않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NaOH가 포함된 표백제로 닦아낸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6. 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산이란 물에 녹았을 때 수소 양이온(H+)을 방출하는 화합물이다. 
          ② 산은 수소와 하나 이상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. 
          ③ 산은 신맛이 나고 금속을 녹일 수 있다. 
          ④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산의 대표적인 예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산의 대표적인 예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7. 산-염기의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산-염기의 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두 물질이 중화되는 반응이다. 
          ② 산-염기 반응은 중화반응이라고도 부른다. 
          ③ 산-염기 반응의 예로 제산제와 위산의 반응을 들 수 있다. 
          ④ 산-염기 반응은 물과 염산을 형성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산-염기 반응은 물과 염산을 형성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8. 염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염기란 수용액에서 OH-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이다. 
          ② 염기는 산과 반응하여 중화반응을 일으킨다. 
          ③ 중화반응을 거쳐 물과 염기가 형성된다. 
          ④ 염기는 쓴 맛이 나는 물질이 많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중화반응을 거쳐 물과 염기가 형성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9. 연소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연소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만드는 화학 반응이다. 
          ② 연소반응에는 에너지가 출입하지 않는다. 
          ③ 연소반응에는 열이 방출된다. 
          ④ 연소반응에서 방출되는 열을 연소열이라 부른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연소반응에는 에너지가 출입하지 않는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0. 생성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생성열이란 어떤 화합물 1 mole이 성분 원소들로부터 만들어질 때 발생하거나 흡수 되는 열량이다. 
          ② 표준 생성열이란 표준 상태에서의 반응물과 생성물을 가정할 때의 생성열이다. 
          ③ 생성열은 반응열의 일종이다. 
          ④ 생성열은 반응열과 중요한 관련성이 없다. 
          
Right Ans:- 
          
          Q. 31. 연소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연소열이란 어떤 화합물 1 mole이 완전 연소할 때 얻어지는 열의 변화이다. 
          ② 유기화합물은 연소에 의하여 대부분 탄산가스와 물이 얻어진다. 
          ③ 연소열은 영양학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. 
          ④ 연소 반응은 항상 흡열 반응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연소 반응은 항상 흡열 반응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2. 화학 반응의 반응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H2(g) + Cl2(g) --> 2HCl(g), △H = -44 kcal
          
          ① 1 mol의 염화수소가 생성될 때, 반응열은 - 22 kcal이다. 
          ② 이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. 
          ③ 이 반응의 생성물은 염화수소 수용액이다. 
          ④ 이 반응의 반응물은 수소와 염소 기체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이 반응의 생성물은 염화수소 수용액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3. 화학 반응에서 1 mole의 요오드화 수소에 대한 반응열은?
 H2(g) + I2(g) --> 2HI(g), △H = 11.9
            kcal 
          ① 11.9 kcal 
          ② 5.95 kcal 
          ③ 23.8 kcal 
          ④ -5.95 kcal 
          
Right Ans:- ② 5.95 kcal 
          
          Q. 34. 다음은 섭씨 18도에서 화합물의 1 mole 당 반응열(kcal)이다. 이 중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은 몇 개인가? 
 CH4(g):
            -212.8, C2H6(g): -373.0, C2H4(g): -337.0,
            C2H2(g): -310.5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2 
          ③ 3 
          ④ 4 
          
Right Ans:- ④ 4 
          
          Q. 35. 반응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화학 반응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을 공급해야 할 때, 흡열 반응이라 한다. 
          ②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화학 반응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을 제거해야 할 때, 발열 반응이라 한다. 
          ③ 생성물의 엔탈피의 합이 반응물의 엔탈피의 합 보다 더 크면 흡열반응이라 한다. 
          ④ 발열반응은 반응물의 엔탈피의 합이 생성물의 엔탈피의 합 보다 작은 경우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발열반응은 반응물의 엔탈피의 합이 생성물의 엔탈피의 합 보다 작은 경우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6. 표준 연소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연소반응이 1 기압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. 
          ② 연소반응이 1 Pa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. 
          ③ 연소반응이 1 mmHg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. 
          ④ 연소반응이 76 mmHg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연소반응이 1 기압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7. 반응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생성열과 연소열은 반응열에 포함되지 않는다. 
          ② 생성열이란 생성반응에 수반되는 반응열이다. 
          ③ 표준 생성반응이란 1 기압에서의 생성반응을 의미하며, 이때의 반응열이 표준생성 반응열이다. 
          ④ 표준 생성반응에서 온도는 제약 조건이 아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생성열과 연소열은 반응열에 포함되지 않는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38. 어떤 반응이 다음과 같이 진행되며, 반응물(A)와 생성물(B)의 엔탈피가 아래와 같이 주어졌을 때, 반응열은 얼마인가? 
 A-->B,HA
            =100kcal,HB =50kcal 
          ① -50 kcal 
          ② -50 cal 
          ③ 50 kcal 
          ④ 50 cal 
          
Right Ans:- ① -50 kcal 
          
          Q. 39. p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어떤 물질의 pH가 7 보다 높으면 염기성이다. 
          ② 어떤 물질의 pH가 7 보다 낮으면 염기성이다. 
          ③ pH는 -log[H+]로 정의된다. 
          ④ pH가 7이면 중성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어떤 물질의 pH가 7 보다 낮으면 염기성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0. 불산 수용액의 pH가 2 일때 수소 이온의 몰농도는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0.01 M 
          ② 0.001 M 
          ③ 0.0001 M 
          ④ 0.00001 M 
          
Right Ans:- ① 0.01 M 
          
          Q. 41 . 천연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메탄(CH4)이 주성분이다. 
          ② 연료로 활용되며 화학공업의 주요한 원료로도 사용된다. 
          ③ 액화천연가스(LNG)는 냉각과 팽창을 통해 천연 가스를 액화시킨 것이다. 
          ④ 건성가스와 습성가스로 나뉘어진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액화천연가스(LNG)는 냉각과 팽창을 통해 천연 가스를 액화시킨 것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2 . 천연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대한민국에서는 천연 가스가 울산에서 소량 산출된다. 
          ② 천연 가스의 성분은 석유와 거의 비슷하다. 
          ③ 천연 가스를 연료로 활용한 자동차가 생산되고 있다. 
          ④ 천연 가스는 합성 가스의 주요한 원료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천연 가스의 성분은 석유와 거의 비슷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3 . 합성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합성 가스란 일산화탄소(CO)와 수소(H2)의 혼합물이다. 
          ② 합성 가스는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으로 제조될 수 있다. 
          ③ 합성 가스는 석탄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. 
          ④ 합성 가스는 주로 연료로 활용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합성 가스는 주로 연료로 활용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4 . 석유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석유정제란 원유를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각종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. 
          ② 석유정제를 위하여 증류에 의해 원유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끓는점의 차이에 따라 분류한다. 
          ③ 보통 원유를 전처리 하지 않고 바로 증류한다. 
          ④ 석유정제를 통해 휘발유를 얻을 수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보통 원유를 전처리 하지 않고 바로 증류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5 . 석유의 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석유의 정제는 황성분, 고무 상태의 물질 등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. 
          ② 석유를 정제할 때 품질이 나쁜 탄화수소는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③ 석유정제 과정에서 세척을 위해 활용하는 황산은 공해를 유발한다. 
          ④ 석유정제는 증류를 거쳐 얻어진 생성물에 적용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석유를 정제할 때 품질이 나쁜 탄화수소는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6 .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천연가스는 메탄이 주성분이며, 천연으로 산출되는 가스이다. 
          ② 천연가스는 건성가스, 습성가스, 액화석유가스로 분류된다. 
          ③ 건성가스는 압력을 가해도 상온에서 액화되기 어렵다. 
          ④ 습성가스는 압력을 가하여 상온에서 액화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천연가스는 건성가스, 습성가스, 액화석유가스로 분류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7 . 원유의 증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예전에는 연속식으로 증류하였으나, 현재는 회분식(batch)으로 증류한다. 
          ② 석유를 증류할 때에는 증류탑을 활용할 수 있다. 
          ③ 원유에는 염산염이나 황산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, 증류 전에 탈염을 거친다. 
          ④ 증류탑에는 여러 개의 쟁반(tray)를 설치하여 효과를 높인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예전에는 연속식으로 증류하였으나, 현재는 회분식(batch)으로 증류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8 . 석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석탄은 석유보다 공업적으로 중요한 자원이다. 
          ② 석유를 증류하여 가솔린 등 연료를 얻을 수 있다. 
          ③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석유가 생산되지 않는다. 
          ④ 석유는 증류 후에 불순물을 제거하는 석유정제 과정을 거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석탄은 석유보다 공업적으로 중요한 자원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49 .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천연가스의 주성분은 부탄이다. 
          ② 천연가스는 증류를 거쳐서 활용한다. 
          ③ 천연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다. 
          ④ 천연가스는 건성가스와 습성가스로 분류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천연가스는 건성가스와 습성가스로 분류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0 . 석유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석유정제란 증류를 거친 유분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. 
          ② 석유정제를 거쳐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다. 
          ③ 석유정제는 천연가스의 순도를 높이는 과정이다. 
          ④ 석유정제는 천연가스에 가압하여 액화하는 과정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석유정제란 증류를 거친 유분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1 .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의 정의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도지사가 정하는 발화성 또는 인화성 등의 물질 
          ② 소방서장이 정하는 폭발성 등의 물질 
          ③ 대통령령이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물질 
          ④ 행정자치부장관관이 정하는 폭발성 등의 물질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대통령령이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물질 
          
          Q. 52 . 위험물의 지정수량이란? 
          ① 군수, 시장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. 
          ② 도지사가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. 
          ③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. 
          ④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3 . 위험물제조소 옥외에 있는 액체위험물을 취급하는 100m3 및 50m3 의 용량 2개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여야 할 방유제의
            최소용량(m3 )은? 
          ① 75 
          ② 50 
          ③ 55 
          ④ 6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55 
          
          Q. 54 . 품명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위험물을 동일한 장소에 저장할 경우 지정 수량의 환산은 어느 것인가? 
          ① 저장하는 위험물 중 그 양에 가장 많은 것을 지정수량으로 한다. 
          ② 저장하는 위험물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이 지정수량 이상일 때이다. 
          ③ 2품명의 위험물을 합하여 그 양이 지정수량 이상일 때이다. 
          ④ 각 품명별로 저장하는 수량을 그 품명별 지정수량을 나누어 얻은 수의 합계가 1 이상일 때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각 품명별로 저장하는 수량을 그 품명별 지정수량을 나누어 얻은 수의 합계가 1 이상일 때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55 . 제1류 위험물을 취급할 때 주의사항으로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환기가 잘 되는 찬 곳에 저장한다. 
          ② 가열, 충격, 마찰을 피한다. 
          ③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④ 용기를 옮길 때는 개방용기를 사용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용기를 옮길 때는 개방용기를 사용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6 . 제1류 위험물 무기과산화물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? 
          ① 불연성 물질이다. 
          ② 가열 또는 산화되기 쉬운 물질과 혼합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. 
          ③ 물과 반응하면 발열하고 수소를 발생하는 것도 있다. 
          ④ 가열, 충격에 의해 폭발하는 것도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물과 반응하면 발열하고 수소를 발생하는 것도 있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7 . 2몰의 에틸알코올이 완전 연소할 때 생기는 CO2의 몰수는 ? 
          ① 1몰 
          ② 2몰 
          ③ 3몰 
          ④ 4몰 
          
Right Ans:- ④ 4몰 
          
          Q. 58 . 제2류 위험물을 저장할 때에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? 
          ① 환원제와의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② 가연물과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③ 금속분은 물 속에 저장한다. 
          ④ 산화제와의 접촉·혼합을 피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산화제와의 접촉·혼합을 피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59 . 제3류 위험물의 성질로서 적합한 것은? 
          ① 산화력이 강하다. 
          ②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 된다. 
          ③ 전부 보호액 중에 보관해야 된다. 
          ④ 전부 단체 금속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60 . 제3류 위험물의 화재예방상 공통된 성질로서 옳은 것은? 
          ① 착화온도가 낮은 액체이다. 
          ② 자연발화성 물질은 불티, 불꽃 또는 고온체의 접근, 과열 또는 공기와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③ 전부 가연성이지만 유기물과 접촉하면 산소를 발생한다. 
          ④ 물과 접촉하면 산소를 발생하고 다른 물질을 산화시킨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자연발화성 물질은 불티, 불꽃 또는 고온체의 접근, 과열 또는 공기와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61 . 다음은 제4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특징이다.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인화되기가 매우 쉽다. 
          ②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. 
          ③ 착화온도가 낮은 것은 위험하다. 
          ④ 증기와 공기가 약간 혼합되어 있어도 연소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62 . 공기의 평균 분자량을 29라고 했을 때 에탄올 증기의 표준상태에서 증기비중은?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1.2 
          ③ 1.59 
          ④ 2.3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.59 
          
          Q. 63 . T.N.T(Tri nitro toluene)의 분자량은? (단, H=1, C=12, O=16, N=14) 
          ① 77 
          ② 91 
          ③ 227 
          ④ 239 
          
Right Ans:- ③ 227 
          
          Q. 64 . 벤젠의 화학식으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C
6H
6 
          ② CH
3OH 
          ③ C
2H
5OH 
          ④ C
6H5OH 
          
Right Ans:- ① C6H6 
          
          Q. 65 . 등유나 경유는 어디에 속하는가? 
          ① 제1석유류 
          ② 제2석유류 
          ③ 제3석유류 
          ④ 제4석유류 
          
Right Ans:- 
          
          Q. 66 . 용량이 20,000L인 이동탱크저장소의 안전칸막이는 몇 개인가? 
          ① 3개 
          ② 4개 
          ③ 5개 
          ④ 6개 
          
Right Ans:- ② 4개 
          
          Q. 67 . 2몰의 에틸알코올이 완전 연소할 때 생기는 CO2의 몰수는 ? 
          ① 1몰 
          ② 2몰 
          ③ 3몰 
          ④ 4몰 
          
Right Ans:- ④ 4몰 
          
          Q. 68 . 벙커 C유는 어느 석유류에 속하는가? 
          ① 제1석유류 
          ② 제2석유류 
          ③ 제3석유류 
          ④ 제4석유류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제3석유류 
          
          Q. 69 . 제5류 위험물의 취급상 옳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화기에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. 
          ② 소화기는 할로겐화합물 소화기가 좋다. 
          ③ 온도, 습도 등을 고려하여 저장하여야 한다. 
          ④ 자연발화 하는 것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소화기는 할로겐화합물 소화기가 좋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70 . 제6류 위험물 중 화재예방에 제일 주의해야 할 일은? 
          ①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② 공기와의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③ 항상 냉각시켜 둔다. 
          ④ 용기에 통풍구를 설치해 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71 . 화장품의 분류가 맞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① 메이크업 화장품 : 파운데이션 
          ② 바디케어 화장품 : 선크림 
          ③ 스킨케어 화장품 : 화장수 
          ④ 헤어케어 화장품 : 선오일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헤어케어 화장품 : 선오일 
          
          Q. 72 . 메이크업 화장품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파운데이션 
          ② 화장수 
          ③ 아이 섀도우 
          ④ 네일 애나멜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화장수 
          
          Q. 73 . 스킨케어 화장품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화장수 
          ② 팩 
          ③ 모이스쳐 크림 
          ④ 파운데이션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파운데이션 
          
          Q. 74 . 에어로졸의 제조공정 순서가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재료검사- 원액충전량 검사- 가스충전 검사- 내압검사 
          ② 재료검사- 가스충전 검사- 원액충전량 검사- 내압검사 
          ③ 재료검사- 내압검사- 원액충전량 검사- 가스충전 검사 
          ④ 재료검사- 내압검사- 가스충전 검사- 원액충전량 검사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재료검사- 원액충전량 검사- 가스충전 검사- 내압검사 
          
          Q. 75 . 화장품 제조시 분쇄기를 사용하는 화장품 공정은? 
          ① 유액 크림 제조공정 
          ② 화장수 제조공정 
          ③ 고형물체 제품 제조공정 
          ④ 립스틱 제조공정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고형물체 제품 제조공정 
          
          Q. 76 . 화장품 생산시 주제조 설비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분체혼합기 
          ② 유화기 
          ③ 충전기 
          ④ 가열장치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가열장치 
          
          Q. 77 . 화장품 제조시 세척설비의 원칙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위험성이 없는 용제(물이 최적)로 세척한다. 
          ② 가능한 한 세제를 사용한다. 
          ③ 증기 세척이 좋은 방법이다. 
          ④ 분해할 수 있는 설비는 분해해서 세척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가능한 한 세제를 사용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78 . 화장품의 반제품은 품질이 변하지 않도록 적당한 용기에 넣어 지정 된 장소에서 보관 해야 한다. 이때 용기에 표시사항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명칭 또는 확인코드 
          ② 제조번호 
          ③ 완료된 공정명 
          ④ 포장 설비명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포장 설비명 
          
          Q. 79 . 화장품 제조시 공정관리 및 작업 주의사항이 잘못된 것은 ? 
          ① 모든 작업에 절차서를 작성하고 절차서에 따라 작업을 한다. 
          ② 통상 발생하지 않는 작업과 처리에는 절차서를 작성하지 않는다. 
          ③ 실행하지 않는 작업에는“실행하지 않는”것을 기재한 절차서가 필요하다. 
          ④ 작업은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통상 발생하지 않는 작업과 처리에는 절차서를 작성하지 않는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80 .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(탈이온화(deionization), 증류 또는 역삼투압 처리 유무에 상관없이)에 대한 절차 중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오염의 위험과 물의 정체(stagnation)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. 
          ②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청결과 위생관리가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물을 공급해야 한다. 
          ③ 화학적, 물리적, 미생물학적 규격서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시험은 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④ 물 처리 설비에 사용된 물질들은 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화학적, 물리적, 미생물학적 규격서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시험은 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81 . 중추신경계 작용약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전신 마취제 
          ② 최면제 
          ③ 해열 진통제 
          ④ 부정맥용약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부정맥용약 
          
          Q. 82 . 지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비타민 A 
          ② 비타민 D 
          ③ 비타민 B 
          ④ 비타민 E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비타민 B 
          
          Q. 83 . 수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비타민 B 
          ② 비타민 B
2 
          ③ 비타민 B
5 
          ④ 비타민 B
6 
          Right Ans:- ③ 비타민 B5 
          
          Q. 84 . 의약외품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구취제 또는 채취의 방지제 
          ② 염색제 
          ③ 치아 미백제 
          ④ 연고제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연고제 
          
          Q. 85 . Diastase, ediose 같은 가루로 된 약제는? 
          ① 과립제 
          ② 산제 
          ③ 연고제 
          ④ 정제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산제 
          
          Q. 86 . 생물학적 원료에 의해 생산되거나 생물학적 원료에서 추출된 생물학적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은? 
          ① 생물유래의약품 
          ② 방사성의약품 
          ③ 무균의약품 
          ④ 임상시험용의약품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생물유래의약품 
          
          Q. 87 . 액제, 크림제 및 연고제 제조시 시설 및 설비가 틀린 것은 ? 
          ① 제품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공정 및 이송 시에 밀폐식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 
          ② 제품이나 개봉된 깨끗한 용기가 노출되는 제조 작업구역은 여과된 공기로 효과적 으로 환기하여야 한다. 
          ③ 제조에 사용하는 탱크, 용기, 배관 및 펌프는 쉽게 세척할 수 있고 필요시 소독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설치되어야 한다. 
          ④ 유리기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유리기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88 . 밸리데이션(Validation) 정의에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설비 또는 부대 시스템이 적절히 설치되고 올바로 작동하며 예상되는 결과를 실제로 얻을 수 있음을 증명하고 문서화하는 행위를 말한다. 
          ② 공정을 점검하거나 적절한 경우 공정을 조정 또는 중간체 또는 원료의약품이 규격에 적합한지 보증하기 위하여 생산 중에 수행되는 확인을 말한다. 
          ③ 구체적인 공정, 방법 또는 시스템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고도로 보증하는 문서화된 프로그램을 말한다. 
          ④ 물품 입고에서 원료의약품의 공정 및 포장에 이르는 원료의약품 조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말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구체적인 공정, 방법 또는 시스템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고도로 보증하는 문서화된
              프로그램을 말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89 . 무균의약품의 제조시 고위험 작업 지역은 몇 등급인가? 
          ① A 등급 
          ② B 등급 
          ③ C 등급 
          ④ D 등급 
          
Right Ans:- ① A 등급 
          
          Q. 90 . 무균 제품의 최종 공정에 대해서 틀린 것은 ? 
          ① 반 밀전된 동결건조 바이알은 마개(stopper)를 완전히 삽입할 때까지 항상 B 등급 조건에서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. 
          ② 유리 또는 플라스틱 앰플과 같이 용융으로 닫는 용기는 100% 완전성 시험을 실시 하여야 한다. 
          ③ 무균충전 바이알의 용기 마개 시스템은 알루미늄 캡을 씌워야 한다. 
          ④ 바이알 캡핑은 멸균캡을 사용하는 무균공정으로 실시하거나 무균 핵심 지역밖에서 청정공정(clean process)으로 실시할 수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반 밀전된 동결건조 바이알은 마개(stopper)를 완전히 삽입할 때까지 항상 B 등급 조건에서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91 . 중간 분쇄기에 속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ball mill 
          ② tube mill 
          ③ edge runner 
          ④ jaw 분쇄기 
          
Right Ans:- ③ edge runner 
          
          Q. 92 . 한 분쇄기 내에서 큰 입자에서 작은 입자까지 분쇄가 되는 것은? 
          ① 보올밀 
          ② 튜브밀 
          ③ 코오니컬 보올밀 
          ④ 로드밀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코오니컬 보올밀 
          
          Q. 93 . 분쇄의 기본 작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① 압착 
          ② 충격 
          ③ 마찰 
          ④ 용해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용해 
          
          Q. 94 . 아주 고운 가루를 얻는 분쇄의 원리는? 
          ① 압착 
          ② 충격 
          ③ 마찰 
          ④ 용해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마찰 
          
          Q. 95 . 분진이 발화폭발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? 
          ① 가연성 
          ② 미분상태 
          ③ 지연성가스(공기)중에서의 교반과 유동 
          ④ 건류가스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건류가스 
          
          Q. 96 . 분진폭발의 발생순서는? 
          ① 공기 - 날림 - 분산 - 발화원의 발생 - 전면폭발 - 이차폭발 
          ② 공기 - 분산 - 날림 - 발화원의 발생 - 전면폭발 - 이차폭발 
          ③ 공기 - 날림 - 분산 - 발화원의 발생 - 이차폭발 - 전면폭발 
          ④ 공기 - 날림 - 발화원의 발생 - 분산 - 전면폭발 – 이차폭발 
          
Right Ans:- ① 공기 - 날림 - 분산 - 발화원의 발생 - 전면폭발 - 이차폭발 
          
          Q. 97 . 분진층의 온도가 250°C라면 분진운에서 발화 온도는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250°C 
          ② 300°C 
          ③ 400°C 
          ④ 500°C 
          
Right Ans:- ④ 500°C 
          
          Q. 98 . 분쇄의 목적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열전도율 증가 
          ② 성분의 분리 
          ③ 반응속도의 촉진 
          ④ 균일한 배합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열전도율 증가 
          
          Q. 99 . 석탄 분진의 위험유해성에서 잠재적 건강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? 
          ① 피부접촉 
          ② 흡입 
          ③ 눈접촉 
          ④ 섭취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흡입 
          
          Q. 100 . 가연물이 고체일 때 덩어리보다 가루가 불타기 쉬운 이유는? 
          ① 착화온도가 낮아지므로 
          ② 발열량이 커지므로 
          ③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
          ④ 열전도율이 커지므로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
          
          Q. 101. 화합물은 어느 것인가? 
          ① 공기 
          ② 우유 
          ③ 설탕물 
          ④ 소금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소금 
          
          Q. 102. 혼합물은 어느 것인가? 
          ① 이산화탄소 
          ② 공기 
          ③ 염화수소 
          ④ 암모니아 
          
Right Ans:- ② 공기 
          
          Q. 103. 고체가 기체로 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? 
          ① 응고 
          ② 용액 
          ③ 승화 
          ④ 액화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승화 
          
          Q. 104. 결정성 고체의 순수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어느 것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? 
          ① 녹는점 
          ② 비중 
          ③ 용해도 
          ④ 색깔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녹는점 
          
          Q. 105. 여러 가지 액체 혼합물로부터 각 성분을 순수하게 분리하고자 한다. 어떤 분리방법이 적당한가? 
          ① 분별증류 
          ② 여과 
          ③ 재결정 
          ④ 증발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분별증류 
          
          Q. 106. 다음 중에서 화학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? 
          ① 증류 
          ② 승화 
          ③ 발효 
          ④ 융해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발효 
          
          Q. 107. 용액 중 용매가 물일 경우 어떤 용액이라 하는가? 
          ① 분산액 
          ② 현탁액 
          ③ 수용액 
          ④ 진용액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수용액 
          
          Q. 108. 5%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부터 18%의 수산화나트륨 농축액 5kg을 얻었다. 처음 용액의 무게는? 
          ① 20kg 
          ② 10kg 
          ③ 13kg 
          ④ 18kg 
          
Right Ans:- ④ 18kg 
          
          Q. 109. 물의 온도를 30°C 높이고자 한다. 몇 0F 높이는 것과 같은가? 
          ① 44°F 
          ② 54°F 
          ③ 64°F 
          ④ 74°F 
          
Right Ans:- ② 54°F 
          
          Q. 110. 표준대기압 0°C, 1atm에서의 수은주 높이는 몇 mmHg인가? 
          ① 720mmHg 
          ② 740mmHg 
          ③ 760mmHg 
          ④ 780mmHg 
          
Right Ans:- ③ 760mmHg 
          
          Q. 111. NaOH 5kg을 증류수에 녹여서 2L가 되게 하였다. NaOH의 질량농도는 몇 kg/l인가? 
          ① 5 
          ② 2.5 
          ③ 3 
          ④ 3.5 
          
Right Ans:- ② 2.5 
          
          Q. 112. 다음 폐수농도의 단위 표현 중 ppm이란 얼마의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가? 
          ① 10만분의 1 
          ② 100만분의 1 
          ③ 1000만분의 1 
          ④ 10억분의 1 
          
Right Ans:- ② 100만분의 1 
          
          Q. 113. 기준물질의 밀도에 대한 측정물질의 밀도의 비를 나타내는 것은? 
          ① 비중 
          ② 밀도 
          ③ 비용 
          ④ 비중량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비중 
          
          Q. 114. 4°C 물의 밀도 1.0g/cm3을 기준으로 하여 90°C의 물의 밀도가 0.9653g/cm3 이라면 물의 비중은? 
          ① 1.0 
          ② 0.9653 
          ③ 1.0018 
          ④ 0.967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0.9653 
          
          Q. 115. 폐기물 처리 방법 중 열적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탈수 
          ② 열분해 
          ③ 소각 
          ④ 건류 
          
Right Ans:- ① 탈수 
          
          Q. 116.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? 
          ① 소각 
          ② 퇴비화 
          ③ 재이용 
          ④ 위생매립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재이용 
          
          Q. 117. 흡착법으로 잘 제거되는 산업폐수의 특성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SS의 농도가 크고 온도가 낮은 산업폐수이어야 한다. 
          ② 유화현상(emulsion)이 있는 유해물질이어야 한다. 
          ③ 용해성 고형물이 많이 존재하는 산업폐수이어야 한다. 
          ④ 가벼운 기름의 농도가 높은 산업폐수이어야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유화현상(emulsion)이 있는 유해물질이어야 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18. 산업폐기물의 처리공정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① 폐산 . 폐알카리→중화→화학처리→방류 
          ② 잔사 . 잡쓰레기→파쇄→소각→방류 
          ③ 폐플라스틱→파쇄→소각→배기처리→매립 
          ④ 폐유-저류분리→기름회수→소각→배기처리→방류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잔사 . 잡쓰레기→파쇄→소각→방류 
          
          Q. 119. 자연환경의 오염방지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매립지 내에서 분해되어야 한다. 미래의 플라스틱 분해기술의 방향은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광분해기술 
          ② 열분해기술 
          ③ 미생물 분해기술 
          ④ 화학적 분해기술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미생물 분해기술 
          
          Q. 120. 유해물질 연소시에 유발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. 적절하지 않은 요소는? 
          ① 분진 
          ② 산성가스 
          ③ 증기 
          ④ 스모그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스모그 
          
          Q. 121. 쓰레기의 퇴비화에 주로 이용되지 않는 방법은? 
          ①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분해 
          ②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및 혐기성 분해 
          ③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분해 
          ④ 화학약품에 의한 유기물 분해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화학약품에 의한 유기물 분해 
          
          Q. 122. 도금폐액 중의 CN을 알카리 조건하에서 산화하는데 어떤 약품을 사용하는가? 
          ① 황산 
          ② 염소 
          ③ 염산 
          ④ 질산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염소 
          
          Q. 123. 제약공업 폐기물에 관한 사항이다. 적절치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? 
          ① 제약공업 폐기물의 처리는 연소에 의존하고 있다. 
          ② 발효공정폐액의 토지 주입시에는 염분 농도와 NO3의 침출 문제가 있다. 
          ③ 제약공업의 폐기물에는 약품 및 유해물질 함유의 슬러지가 대부분이다. 
          ④ 유기합성공정폐액은 산, 알카리, 용매, CN, SS등을 포함 한다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제약공업 폐기물의 처리는 연소에 의존하고 있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24. 다음 유해 액상폐기물 처리공정 중 전환공정(conversion process)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수은-화학적 환원 
          ② 시안-화학적 산화 
          ③ 중금속-전기분해 
          ④ 납-탄산염 침전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납-탄산염 침전 
          
          Q. 125. 다음 물질 중에서 건조제로 사용하는 물질은? 
          ① 염화나트륨 
          ② 질산은 
          ③ 염화칼슘 
          ④ 과망간산칼륨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염화칼슘 
          
          Q. 126. 다음 할로겐 원소 중 착이온을 가장 잘 만드는 원소는? 
          ① 요오드 
          ② 염소 
          ③ 브롬 
          ④ 플루오르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플루오르 
          
          Q. 127. 우라늄이 붕괴되며 나오는 방사선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X-선 
          ② α-선 
          ③ β-선 
          ④ γ-선 
          
Right Ans:- ① X-선 
          
          Q. 128. 다음 방사선의 특성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? 
          ① 강력한 투과력을 가지고 있다 
          ② 세포를 생성시키는 생리작용이 있다 
          ③ 공기나 그 밖의 기체를 통과하면 그들이 이온화하여 전기를 전하게 하는 성질을 갖는다. 
          ④ 인광물질에 닿으면 인광을 내게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세포를 생성시키는 생리작용이 있다 
          
          Q. 129. 원자핵을 구성하는 물질을 핵자라고 한다. 핵자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양성자 
          ② 전자 
          ③ 중성자 
          ④ 중간자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전자 
          
          Q. 130. 다음 불활성 기체중 방사선 원소가 α붕괴할 때 방출되는 것은? 
          ① He 
          ② Ne 
          ③ Ar 
          ④ Kr 
          
Right Ans:- ① He 
          
          Q. 131. 다음 단위 중 기본 단위가 아니며 유도 단위인 것은? 
          ① 길이 
          ② 밀도 
          ③ 질량 
          ④ 열량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밀도 
          
          Q. 132. 25wt% NaOH 수용액에서 H2의 mole분율은 얼마인가? (NaOH 분자량: 40) 
          ① 0.87 
          ② 0.087 
          ③ 8.7 
          ④ 87 
          
Right Ans:- ① 0.87 
          
          Q. 133. 표준상태에서 50m3의 용적을 가진 프로판(C3H8)가스를 액화하여 얻을 수 있는 액체 프로판의 무게는?
            (프로판(C3H8) 분자량:44) 
          ① 110kg 
          ② 98.2kg 
          ③ 28.6kg 
          ④ 49.1kg 
          
Right Ans:- ② 98.2kg 
          
          Q. 134. 3m높이의 증류탑이 있다. 단위를 환산하면 몇 ft인가? 
          ① 6.84ft 
          ② 7.84ft 
          ③ 8.84ft 
          ④ 9.84ft 
          
Right Ans:- ④ 9.84ft 
          
          Q. 135. 표준상태에서 기체 1gr.mol이 차지하는 부피는 몇 l인가? 
          ① 0.224l 
          ② 2.24l 
          ③ 22.4l 
          ④ 224l 
          
Right Ans:- ③ 22.4l 
          
          Q. 136. 질량 1gr의 물체에 1cm/sec2의 가속도를 가질 때의 힘의 크기 단위는? 
          ① 1 dyne 
          ② 1 erg 
          ③ 1 Newton 
          ④ 1 poundal 
          
Right Ans:- ① 1 dyne 
          
          Q. 137. 물은 4°C에서 밀도가 1.0g/cm3이다. 이를 환산하면 몇 kg/m3인가? 
          ① 0.001kg/m
3 
          ② 0.01kg/m
3 
          ③ 100kg/m
3 
          ④ 1000kg/m
3 
          Right Ans:- ④ 1000kg/m3 
          
          Q. 138. 유기화합물의 화학식 명명법에 있어서 수에 관한 접두어로 2개를 뜻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테트라 
          ② 모노 
          ③ 트리 
          ④ 디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디 
          
          Q. 139. 탄화수소화합물의 명명법 중 펜텐(pentene)의 화학식은? 
          ① C
2H
4 
          ② C
5H
10 
          ③ C
4H
8 
          ④ C
3H
6 
          Right Ans:- ② C5H10 
          
          Q. 140. 탄소화합물(유기물)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① 유기화합물은 공유결합을 하며 녹는점이 높다. 
          ② 유기용매에 녹는 것이 많다. 
          ③ 구성 원소는 주로 C.H.O와 N.P.S 할로겐 원소로 되어 있다. 
          ④ 유기물은 연소하여 CO
2 와 H
2O가 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유기화합물은 공유결합을 하며 녹는점이 높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41 . 포화탄화수소화합물중 액체 상태인 것의 탄소 수는? 
          ① C
1 ~ C
4 
          ② C
5 ~C
16 
          ③ C
17 ~ C
20 
          ④ C
20 ~ C
30 
          Right Ans:- ② C5 ~C16 
          
          Q. 142 . 다음 물질 중 클로로포름은? 
          ① CHCl
3 
          ② CH
2Cl
2 
          ③ CH
3Cl 
          ④ CCl
4 
          Right Ans:- ① CHCl3 
          
          Q. 143 . 벤젠의 유도체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아닐린 
          ② BHC 
          ③ PVC 
          ④ 피크린산 
          
Right Ans:- ③ PVC 
          
          Q. 144 . 다음 니트로화제 중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? 
          ① 질산 
          ② 황산 
          ③ 질산+황산 
          ④ 질산+초산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질산+황산 
          
          Q. 145 . 어떤 용기 속에 염소(Cl2)35.5kg이 들어 있다. 만일 이 염소를 방출해서 표준 상태로 하면 염소가 차지하는 부피는 얼마인가? (Cl원자량: 35.5)
          
          ① 11.2m
3 
          ② 22.4m
3 
          ③ 32.5m
3 
          ④ 44.8m
3 
          Right Ans:- ① 11.2m3 
          
          Q. 146 . 4°C의 물을 기준으로 하여 90°C의 물의 비중을 나타내시오. 단 물의 4°C 밀도 33 1.0g/cm3 , 물의 90°C밀도
            0.9653g/cm3 이다 
          ① 1.0 
          ② 1.0018 
          ③ 0.9653 
          ④ 0.967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0.9653 
          
          Q. 147 . 고온 물체의 휘도와 표준용 전구의 휘도와 비교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는? 
          ① 열전온도계 
          ② 광고온계 
          ③ 저항온도계 
          ④ 압력식온도계 
          
Right Ans:- ② 광고온계 
          
          Q. 148 . 다음 탄성 압력계 종류 중 탄성력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지 않는 압력계는? 
          ① 브르동관식 압력계 
          ② 벨로즈형 압력계 
          ③ 격막식 압력계 
          ④ 피스톤식 압력계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피스톤식 압력계 
          
          Q. 149 . 어떤 공장의 폐수 중에서 독성 성분을 분석하였더니 3000ppm이었다 이를 %로 나타내면? 
          ① 0.3% 
          ② 3% 
          ③ 30% 
          ④ 0.03% 
          
Right Ans:- ① 0.3% 
          
          Q. 150 . 질량으로 10%의 NaOH 용액 100kg을 농축하여 80%wt의 NaOH액을 얻었다. 증발된 수분의 양은? 
          ① 8.75kg 
          ② 87.5kg 
          ③ 875kg 
          ④ 0.875kg 
          
Right Ans:- ② 87.5kg 
          
          Q. 151 . 25°C를 화씨(°F)로 환산하면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77°F 
          ② 45°F 
          ③ 13°F 
          ④ -12.6°F 
          
Right Ans:- ① 77°F 
          
          Q. 152 . 밀도(density)의 단위(unit)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cm/sec 
          ② g/cm³ 
          ③ g/cm·sec 
          ④ cm³/sec 
          
Right Ans:- ② g/cm³ 
          
          Q. 153 . 부피의 단위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m³ 
          ② l 
          ③ cal 
          ④ cc 
          
Right Ans:- ③ cal 
          
          Q. 154 .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Pa 
          ② atm 
          ③ Torr 
          ④ erg 
          
Right Ans:- 
          
          Q. 155 . 절대압이란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대기압 + 게이지압 
          ② 대기압 + 진공압 
          ③ 대기압 * 게이지압 
          ④ 게이지압 + 진공압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대기압 + 게이지압 
          
          Q. 156 . 유체의 흐름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관부속품(pipe fittings)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엘보우(elbow) 
          ② 카플링(coupling) 
          ③ Y지관(Y branch) 
          ④ 티(tee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카플링(coupling) 
          
          Q. 157 . 화학공업에서 사용하는 열전달기구(Mechanism of heat transfer)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전도(heat transfer) 
          ② 대류(heat convection) 
          ③ 투과(heat transmission) 
          ④ 복사(heat radiation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투과(heat transmission) 
          
          Q. 158 . 화학공장에서 열교환기(Heat exchanger)를 이용한 설비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열절약장치(boiler) 
          ② 냉각기(cooler) 
          ③ 응축기(condenser) 
          ④ 추출기(extractor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추출기(extractor) 
          
          Q. 159 . 물질의 열전도도(thermal conductivity)가 가장 좋은 것은? 
          ① 금속 
          ② 물 
          ③ 수소 
          ④ 공기 
          
Right Ans:- ① 금속 
          
          Q. 160 . 점도(viscosity)가 큰 물질끼리 또는 여기에 고체분말 등을 섞어 반죽하는 조작은? 
          ① 혼합(mixing) 
          ② 혼련(kneading) 
          ③ 혼동(blending) 
          ④ 교반(agitation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혼련(kneading) 
          
          Q. 161 . 혼합의 목적(purpose of mixing)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균질한 혼합물을 얻기 위하여 
          ② 유탁액, 현탁액 등을 얻기 위하여 
          ③ 화학적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
          ④ 물리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화학적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
          
          Q. 162 . 교반기(agitator)의 회전속도 단위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mks 
          ② fps 
          ③ rmr 
          ④ rpm 
          
Right Ans:- ④ rpm 
          
          Q. 163 . 회전용기형(revolution type) 혼합기에 속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수직형 
          ② 이중원추형 
          ③ 입방체형 
          ④ V자형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수직형 
          
          Q. 164 . 교반기(agitator)의 회전날개(rotary fan) 종류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로형(paddle) 
          ② 리본형(ribbon) 
          ③ 터빈형(turbine) 
          ④ 프로펠러형(propeller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리본형(ribbon) 
          
          Q. 165 . 기계적 분리조작(mechanical separation)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체분리(sieving) 
          ② 침강(sedimentation) 
          ③ 건조(drying) 
          ④ 여과(filtration)3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건조(drying) 
          
          Q. 166 . 체(sieve)나 스크린(screen)의 규격을 나타내는 것은? 
          ① 밀도(density) 
          ② 형상(shape) 
          ③ 입자(grain) 
          ④ 메쉬(mesh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메쉬(mesh) 
          
          Q. 167 . 건조방식에 의한 분류로 회분식(batch type)에 해당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상자형 건조기(compartment dryer) 
          ② 선반형 건조기(tray dryer) 
          ③ 쉬트 건조기(sheet dryer) 
          ④ 터널 건조기(tunnel dryer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상자형 건조기(compartment dryer) 
          
          Q. 168 . 원료 10kg을 선반형 건조기에서 10시간 건조하였더니 9kg으로 감소하였다. 건조에 의해 모든 수분이 증발하였다면, 이 원료의 수분은 몇 %인가? 
          ① 1% 
          ② 10% 
          ③ 9% 
          ④ 90% 
          
Right Ans:- ② 10% 
          
          Q. 169 . 산화되어서는 안 될 미생물제품의 건조에 해당하는 건조방식은? 
          ① 적외선건조(infrared dryer) 
          ② 고주파건조(high frequency dryer) 
          ③ 동결건조(freeze dryer) 
          ④ 과열증기건조(superheated steam dryer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동결건조(freeze dryer) 
          
          Q. 170 . 점성(viscosity)이 큰 유체수송에 적합한 펌프는? 
          ① 피스톤펌프(piston pump) 
          ② 격막식펌프(diaphragm pump) 
          ③ 터빈펌프(turbine pump) 
          ④ 기어펌프(gear pump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기어펌프(gear pump) 
          
          Q. 171 . 기체 수송장치(gas conveyor)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터빈펌프(turbine pump) 
          ② 원심압축기(turbo compressor) 
          ③ 원심송풍기(turbo blower) 
          ④ 환풍기(turbo fan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터빈펌프(turbine pump) 
          
          Q. 172 . 공기압축기에 10HP이 표기되어 있다. 동력으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0.75KW 
          ② 7.5KW 
          ③ 75KW 
          ④ 750KW 
          
Right Ans:- ② 7.5KW 
          
          Q. 173 . 콤프레샤(compressor)의 사용압력 조정범위(상한/하한압력)로 맞는 것은? 
          ① 0.1kg/cm²·G 이상 
          ② 0.5kg/cm²·G 이상 
          ③ 1kg/cm²·G 이상 
          ④ 5kg/cm²·G 이상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kg/cm²·G 이상 
          
          Q. 174 . 화학물질 500g을 100메쉬 체로 분리하였다. 체를 통과한 것이 300g이면 체 잔류물 (over size)은 몇 %인가? 
          ① 10% 
          ② 20% 
          ③ 30% 
          ④ 40% 
          
Right Ans:- ④ 40% 
          
          Q. 175 . 체사분(siveing)공정 등 분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작업장에서 착용해야 할 보호구는? 
          ① 

          ② 
 
          ③ 

          ④ 
 
          Right Ans:- 
          
          Q. 176 . 유류(경유)저장탱크에서 혼합기로 경유를 배송하고자 한다. 지켜야 할 안전 사항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주입관의 선단은 혼합기 바닥에 닿도록 한다. 
          ② 작업완료 후 혼합기에 경유가 남아 있으면 혼합기를 밀폐한다. 
          ③ 배송속도를 1m/sec 이하로 한다. 
          ④ 배관의 플랜지 이음매 양쪽을 전선으로 연결하고 접지를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작업완료 후 혼합기에 경유가 남아 있으면 혼합기를 밀폐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77 . 0°C는 절대온도가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0°K 
          ② 32°K 
          ③ 273°K 
          ④ 460°K 
          
Right Ans:- ③ 273°K 
          
          Q. 178 . 화학제품제조공정에서 각종 설비의 점검에 관한사항이다. V-벨트를 가볍게 눌러 본다든가 전동기를 작동시켜 그 회전사항을 살펴보는 등 대상기기의 기능이 적당 한지를 점검하는 것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외관점검 
          ② 작동점검 
          ③ 종합점검 
          ④ 기능점검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기능점검 
          
          Q. 179 . 화학설비를 점검하기 위하여 공정배관계장도(P&ID)를 보고 있다. 기호 중 게이트 밸브를 나타낸 것은? 
          ① 

          ② 
 
          ③ 

          ④ 
 
          Right Ans:- 
          
          Q. 180 . 왕복식 압축기 가동 중 감시 및 확인사항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가스의 흡입, 토출압력 및 온도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. 
          ② 회전벨트에 손을 대어 벨트의 떨림이 없는지 확인한다. 
          ③ 밸브의 작동음, 활동부의 슬라이드 음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. 
          ④ 가스누출이나 진동이 없는지 확인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회전벨트에 손을 대어 벨트의 떨림이 없는지 확인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1 . 유해작업환경 관리대책으로서 화학물질에 대한 작업환경 관리방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대치(substitution) 
          ② 격리(isolation) 
          ③ 분리(separation) 
          ④ 환기(ventilation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분리(separation) 
          
          Q. 182 . 환기에 대한 설명이다.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국소배기와 전체 환기가 있다. 
          ② 효과적인 환기를 하려면 배기량과 급기량이 같아야 한다. 
          ③ 작업장의 유해물질을 희석하거나 배출한다. 
          ④ 작업장의 시설을 가능한 개방하여야 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작업장의 시설을 가능한 개방하여야 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3 . 화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3가지 요소가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연쇄반응 
          ② 가연물 
          ③ 산소공급원 
          ④ 점화원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연쇄반응 
          
          Q. 184 . 변압기나 전기콘센트에 과열로 불이 났을 경우 적절한 소화약제는? 
          ① 물(water) 소화약제 
          ② 탄산가스(CO
2) 소화약제 
          ③ 포(foam) 소화약제 
          ④ 강화액(loaded steam) 소화약제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탄산가스(CO2) 소화약제 
          
          Q. 185 . 화재가 났을 경우 소화방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제거소화 
          ② 질식소화 
          ③ 폭풍소화 
          ④ 냉각소화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폭풍소화 
          
          Q. 186 . 소화기의 설치 위치 및 방법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바닥면에서 1.5m 이하의 지점에 설치한다. 
          ② 통행, 피난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. 
          ③ 물 또는 소화약제가 변질할 염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. 
          ④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보관 상자에 넣어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보관 상자에 넣어둔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7 . 소화기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소화기는 안전을 위해서 불에서 떨어진 곳에서 방사한다. 
          ② 소화기는 바람을 등지고 방사한다. 
          ③ 소화기는 화재초기에만 효과가 있다. 
          ④ 소화기를 양옆으로 비로 쓸듯이 골고루 방사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소화기는 안전을 위해서 불에서 떨어진 곳에서 방사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8 . 보일러실의 유류탱크에 화재가 났을 때 물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? 
          ① 물의 소화능력이 유류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. 
          ② 기름이 물보다 가벼워 연소면(화재면)이 확대되기 때문이다. 
          ③ 동절기에 물이 얼기 때문에 물을 준비하지 않기 때문이다. 
          ④ 물을 사용하면 기름과 화학반응하기 때문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기름이 물보다 가벼워 연소면(화재면)이 확대되기 때문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9 . 화재종류에 따라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. 소화기 표면에 백색으로 표기한 것은 어느 화재에 적응 가능한가? 
          ① A급화재 
          ② B급화재 
          ③ C급화재 
          ④ D급화재 
          
Right Ans:- ① A급화재 
          
          Q. 190 . 회사 내 작업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. 최초발견자의 상황전파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“불이야”하고 큰소리로 주변 동료에게 알린다. 
          ② 비상벨 경보장치를 누른다. 
          ③ 최초발견자가 119(소방관서)에 연락한다. 
          ④ 관리자에게 사고를 알린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최초발견자가 119(소방관서)에 연락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1 . 화학물질을 취급하다가 화상을 입었다. 응급조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. 
          ② 의복을 느슨하게 한다. 
          ③ 화학물질이 닿은 옷이나 장신구를 제거한다. 
          ④ 따뜻한 물로 신속히 씻는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따뜻한 물로 신속히 씻는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2 . 눈에 화학물질이 들어간 경우 응급대처방법으로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눈에 박힌 화학물질을 비벼서 빼낸다. 
          ② 흐르는 물에 10분 이상 씻는다. 
          ③ 소독 안대를 하고 병원으로 후송한다. 
          ④ 한쪽만 다쳤어도 양 눈을 다 가린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눈에 박힌 화학물질을 비벼서 빼낸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3 . 화학물질을 삼켰을 경우 올바른 대처방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기도를 확인하여 깨끗이 한다. 
          ② 강제 구토를 시켜 화학물질을 배출시킨다. 
          ③ 의사의 지시 없이 물이나 우유를 먹여서는 안 된다. 
          ④ 구토를 대비하여 쇼크체위로 눕힌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강제 구토를 시켜 화학물질을 배출시킨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4 . 고소작업(high place work)에 필요한 보호구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안전모 
          ② 안전화 
          ③ 송기마스크 
          ④ 안전벨트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송기마스크 
          
          Q. 195 . 탱크나 산소결핍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보호구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송기마스크 
          ② 안전벨트 
          ③ 구명줄 
          ④ 귀마개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귀마개 
          
          Q. 196 . 화재발생시 비상벨을 눌러야 할 사람은? 
          ① 환경안전담당자 
          ② 생산과장 
          ③ 현장반장 
          ④ 최초발견자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최초발견자 
          
          Q. 197 . 회사 내 화학물질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. 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할 사람은? 
          ① 안전관리자 
          ② 사고발생자 
          ③ 최초발견자 
          ④ 사고현장 반장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안전관리자 
          
          Q. 198 . 화학물질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안전관리자가 응급조치할 사항으로 맞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사고 확산방지를 위하여 타 작업자를 대피시킨다. 
          ② 사고보고서를 작성하여 공장장에게 보고한다. 
          ③ 사고 발생한 화학물질을 파악한다. 
          ④ 보호구를 착용하고 확산방지를 위하여 원인시설을 차단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사고보고서를 작성하여 공장장에게 보고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9 . 생산현장에서 화학물질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. 작업자인 최초발견자는 누구에서 우선 알려야 하는가? 
          ① 공장장 
          ② 환경안전실장 
          ③ 생산부장 
          ④ 공무부장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생산부장 
          
          Q. 200 . 회사 내에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중대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대외 관계기관에 알려야 할 사람은? 
          ① 공장장 
          ② 최초발견자 
          ③ 사고발생자 
          ④ 환경안전담당자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환경안전담당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