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(금속·금속제품 제조업)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. 다음 중 비철금속 원소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Mg    
            ② Al    
            ③ Fe    
            ④ Cu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Fe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. 다음 중 철강 재료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순철    
            ② 탄소강    
            ③ 주철    
            ④ 티타늄합금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티타늄합금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. 금속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열과 전기의 부도체이다.    
            ② 금속적 무광택성을 가지고 있다.    
            ③ 상온에서 고체이다.    
            ④ 액체 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상온에서 고체이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. 금속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비중    
            ② 경도    
            ③ 자성    
            ④ 부식성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비중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. 다음 중 금속의 결정구조가 아닌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조밀입방격자    
            ② 조밀육방격자    
            ③ 체심입방격자    
            ④ 면심입방격자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조밀입방격자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. 인장과 압축응력을 오랜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복 작용시켜서 일어나는 파단 현상은?      
            ① 강도    
            ② 경도    
            ③ 인성    
            ④ 피로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피로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. 강의 변태에서 ⍺고용체의 금속 조직학상 용어는?      
            ① 페라이트(ferrite)    
            ② 오스테나이트(austenite)    
            ③ 펄라이트(pearlite)    
            ④ 시멘타이트(cementit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페라이트(ferrit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. 다음 중 고상변태(고체에서 고상으로 변화)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공정    
            ② 공석    
            ③ 포석    
            ④ 편석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공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. 2종 이상의 금속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본래의 성분 금속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는 독립된 결정격자를 형성하는데, 이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고용체합금    
            ② 금속간화합물    
            ③ 포정합금    
            ④ 한율고용체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금속간화합물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. 금속의 강화기구 중 제2상이 분말야금이나 내부산화법에 의해 형성되는 강화현상은?      
            ① 고용체강화    
            ② 석출강화    
            ③ 분산강화    
            ④ 입자미세화강화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분산강화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. 금속의 소성변형을 응용한 소성가공법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압연가공    
            ② 단조가공    
            ③ 프레스가공    
            ④ 주조가공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주조가공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. 금속의 소성가공은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나누는데, 그 기준점은?      
            ① 재결정온도    
            ② 용융온도    
            ③ 탄성변형온도    
            ④ 응고온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재결정온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. 다음 중 경금속으로만 나열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Al, V    
            ② Cr, Zn    
            ③ Fe, Mg    
            ④ Al, Mg    
            
Right Ans:-④ Al, Mg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. 다음 중 인장강도 시험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연신율    
            ② 경도    
            ③ 용융점    
            ④ 열전도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연신율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. Fe-C평형상태도에서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함유량은?      
            ① 4.3%    
            ② 2.0%    
            ③ 0.8%    
            ④ 0.025%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2.0%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. 다음 조직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많은 조직은?      
            ① 시멘타이트(cementite)    
            ② 오스테나이트(austenite)    
            ③ 펄라이트(pearlite)    
            ④ 페라이트(ferrit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시멘타이트(cementit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v
            
Q. 17. 탄소강 중의 5대 원소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Al    
            ② Si    
            ③ Mn    
            ④ P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Al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. 탄소강의 열처리에서 담금질을 하는 목적은?      
            ① 조직의 표준화    
            ② 내부 응력의 제거    
            ③ 경도 향상     
            ④ 탈탄 촉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경도 향상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. 다음 중 합금공구강의 용도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내식용     
            ② 절삭용     
            ③ 내충격용     
            ④ 열간가공용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① 내식용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v
            v
            
Q. 20. Cr을 다량 첨가하여 내식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강은?      
            ① 구조용 특수강    
            ② 공구용 합금강    
            ③ 스테인레스강     
            ④ 고속도 공구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스테인레스강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1. 백주철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펼라이트+시멘타이트     
            ② 펼라이트+시멘타이트+흑연    
            ③ 펄라이트+흑연    
            ④ 펄라이트+페라이트+흑연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펼라이트+시멘타이트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2. 합금주철의 종류로서 부적당한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칠드주철     
            ② 내마모성주철    
            ③ 기계구조용 합금주철    
            ④ 내열 및 내산주철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칠드주철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3. 주철의 주조성을 좌우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탕의 산화도    
            ② 유동성    
            ③ 수축률    
            ④ 흑연화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흑연화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4. 황동(brass)의 합금성분은?      
            ① Cu+Zn     
            ② Cu+Sn    
            ③ Cu+Ni    
            ④ Cu+Fe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Cu+Zn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5. 황동 또는 청동에 비해 강도, 경도,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성질 및 내열성, 내식성이 우수하여 화학공업용 기기, 항공기, 자동차 등의 부품으로 적당한 재료는?      
            ① 알루미늄청동     
            ② 인청동    
            ③ 연청동    
            ④ 규소청동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알루미늄청동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6.  다음 알루미늄 합금 중 시효경화형 합금은?      
            ① Al-Si    
            ② Al-Cu     
            ③ Al-Mn    
            ④ Al-Mg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Al-Cu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v
            
Q. 27. 알루미늄 합금에서 과포화 고용체를 만드는 용체화 처리 온도는 몇 도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100℃    
            ② 300℃    
            ③ 500℃    
            ④ 700℃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500℃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8. 미국 AA(Aluminum and Aluminum alloy)에서 분류한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의 식별부호 중 5000계열은?      
            ① Al-Cu계 합금    
            ② Al-Mn계 합금    
            ③ Al-Si계 합금    
            ④ Al-Mg계 합금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Al-Mg계 합금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9. 니켈의 실용합금인 인바(invar), 엘린바(elinvar), 니켈로이(nickalloy) 등의 합금성분은?      
            ① Ni-Fe 합금     
            ② Ni-Cr 합금    
            ③ Ni-Cu 합금    
            ④ Ni-Al 합금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Ni-Fe 합금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0. 베어링 합금은 주석계, 납계, 구리계, 아연계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 구리계 베어링 합금의 명칭은?       
            ① kelmet     
            ② duralumin    
            ③ babbit metal    
            ④ monel metal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kelmet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1. 18금(18K)의 순금 함유량은?      
            ① 95%     
            ② 85%    
            ③ 75%     
            ④ 65%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75%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2. 섬유강화형 복합재료는 탄성률이 높은 섬유재로 모재금속을 강화시켜 금속재료 보다 비강도, 비탄성이 극히 높은 재료이다. 이 재료의 복합화 성형법으로 액상법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고온압출법    
            ② 용침법    
            ③ 가압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진공주조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고온압출법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3. 합금 중에 산화물 등의 내열입자를 분산시켜 대단히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, 기지는 금속이므로 세라믹보다 우수한 연성을 나타내어 내열성과 연성 양방향의 특성을 지닌 신금속재료는?      
            ① 열전재료    
            ② 핵융합로 구조재료    
            ③ 입자분산 복합재료     
            ④ 초내열합금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입자분산 복합재료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4. 다음 중 기능성 신금속재료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자성재료     
            ② 반도체재료    
            ③ 비정질금속재료    
            ④ 섬유강화금속재료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섬유강화금속재료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5. 금속재료가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특수한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는?      
            ① 초탄성재료    
            ② 초소성재료     
            ③ 전극재료    
            ④ 초강력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초소성재료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6. 다음 중 안전보건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금지표지    
            ② 경고표지    
            ③ 지시표지    
            ④ 도로표지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도로표지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7.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탑승금지 표지인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 

  ②  
   
            ③  

  ④  
    
            Right Ans:- ④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8.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인화성물질경고 표지인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 

  ②  
   
            ③  

  ④  
    
            Right Ans:- ①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39.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응급구호 표지인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 

  ②  
   
            ③  

  ④  
    
            Right Ans:- ②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0. 재해발생시 응급처치 요령으로 잘못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환자의 체온유지에 힘쓴다    
            ② 구급차를 부른다    
            ③ 환자에게 음료수를 준다     
            ④ 변, 구토물 등의 증거품을 보존한다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환자에게 음료수를 준다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1. 응급처치 구명 4단계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지혈    
            ② 기도유지    
            ③ 보온유지    
            ④ 운반준비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운반준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2. 안전색상 표시법으로 잘못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적색-긴급정지누름단추, 소방시설    
            ② 황색-압축기 공기파이프, 최소한의 안전표시    
            ③ 황색과 흑색줄무늬-위험물, 장애물표시    
            ④ 녹색과 백색줄무늬-방사선 장비구역표시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녹색과 백색줄무늬-방사선 장비구역표시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3. 드릴작업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시동 후에 드릴이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    
            ② 장갑을 끼고 작업하지 않는다.    
            ③ 드릴 회전 중에는 칩을 입으로 불지 않는다.    
            ④ 전기드릴을 사용 할 때는 반드시 접지하도록 한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시동 후에 드릴이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4. 연삭기 작업 안전수칙으로 올바른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연삭숫돌 교체시 시운전은 불필요한 동작이다.    
            ② 연삭숫돌에 미세한 균열이 있어도 작업에는 지장이 없다.    
            ③ 연삭숫돌 정면에서 150도 정도 옆으로 비켜서서 작업한다.    
            ④ 가공물은 연삭숫돌에 급격하게 접촉시킨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연삭숫돌 정면에서 150도 정도 옆으로 비켜서서 작업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5. 용접작업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용접기 주변에 물을 뿌려서 먼지가 나지 않도록 한다.     
            ② 용접기 어스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.    
            ③ 용접작업 중단시 전원을 차단시킨다.    
            ④ 탱크 등 좁은 공간에서 용접작업시 물체에 기대지 않도록 주의한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용접기 주변에 물을 뿌려서 먼지가 나지 않도록 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6. 화학설비 해체작업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화학설비 부속품을 세정할 때는 휘발성 세정액이 묻은 걸레를 사용하여야 한다.     
            ② 화학설비 해체시 고압에 의한 유해물질의 분출이 없도록 내부 압력을 제거한다.    
            ③ 화학설비 해체시 유해물질 비산에 대비하여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한다.    
            ④ 잔류물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 가스 또는 액체로 치환해 두어야 한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화학설비 부속품을 세정할 때는 휘발성 세정액이 묻은 걸레를 사용하여야 한다.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7. 위험장소 작업안전 수칙상 작업허가서가 필요하지 않는 작업은?      
            ① 유해위험물질 취급작업    
            ② 중량물이동 작업    
            ③ 고소작업    
            ④ 도금작업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도금작업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8. 산업폐기물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폐기물에는 산업폐기물, 일반폐기물 및 방사성폐기물이 있으며, 산업폐기물은 19종으로 분류한다 .    
            ② 펄프제조업, 제지업, 종이 가공품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종이쓰레기라고 한다.    
            ③ 의류,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섬유쓰레기라고 한다.    
            ④ 가축의 분뇨와 사체는 산업폐기물의 종류로 분류하지 않는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가축의 분뇨와 사체는 산업폐기물의 종류로 분류하지 않는다.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49. 각종 제조업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진흙 모양의 산업폐기물을 오니라고 하는데, 이의 처리 시 가장 적당한 함수율은 몇%입니까?       
            ① 90%이하    
            ② 85%이하     
            ③ 80%이하    
            ④ 75%이하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85%이하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0. 산업폐기물 처리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폐산, 폐알칼리-매립 처분    
            ② 유기성오니-소각 처분    
            ③ 고무쓰레기-용융가공 또는 소각처분    
            ④ 폐플라스틱류-용융가공 또는 소각처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폐산, 폐알칼리-매립 처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1. 주형의 강도와 통기도 및 습기에 의한 결함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건조     
            ② 냉각    
            ③ 체질    
            ④ 혼련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건조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2. 주형의 표면 건조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연소 도형제법    
            ② 화염 건조법    
            ③ 적외선 건조법    
            ④ 건조로 건조법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건조로 건조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3. 주형의 외부로부터 용탕을 주입하는 곳은?       
            ① 주입컵(Pouring Cup)     
            ② 탕구(Sprue)    
            ③ 탕도(Runner)    
            ④ 주입구(Gat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주입컵(Pouring Cup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4.탕도에서 용탕이 주형에 들어가는 곳은?       
            ① 탕구(Sprue)    
            ② 주입컵(Pouring Cup)    
            ③ 주입구(Gate)     
            ④ 탕도(Runner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주입구(Gate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5. 주형의 제품으로 되는 부분에 직접 주입구를 만드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휠 주입구(Wheel gate)    
            ② 직접 주입구(Direct gate)     
            ③ 샤워 주입구(Shower gate)    
            ④ 나이프 주입구(knife gat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직접 주입구(Direct gat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6. 탕구비라 함은 탕구, 탕도, 주입구의 단면적의 비를 말하는데 탕구가 25㎠, 탕도단면적이 50㎠, 주입구가 50㎠ 일 때 탕구비는 얼마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1 : 1 : 1    
            ② 2 : 2 : 2    
            ③ 1 : 2 : 2     
            ④ 2 : 2 : 1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1 : 2 : 2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7. 주물의 반지름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된 회전판을 일정한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켜 주형을 만드는 조형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현형(Solid Pattern)    
            ② 회전형(Sweep Pattern)     
            ③ 골격형(Skeleton Pattern)    
            ④ 부분형(Section Pattern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회전형(Sweep Pattern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8. 두 개의 플레이트의 한쪽에만 맞붙여서 상·하 주형을 각개의 조형기로 조형하는 것으로 매치플레이트의 경우보다 큰 대형, 중형을 제작하는 특수원형은?      
            ① 마스터 패턴(Master Pattern)    
            ② 매치플레이트(Match plate)    
            ③ 패턴플레이트(Pattern Plate)     
            ④ 부분형(Section Pattern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패턴플레이트(Pattern Plate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59. 바닥에 주물사를 깔고 수평으로 만든 다음 다짐봉으로 다져서 여기에 원형을 수직으로 눌러서 만드는 조형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개방 주형법(Open sand moulding)     
            ② 주형 상자 주형법(Flask moulding)    
            ③ 토간 주형법(Bed in moulding)    
            ④ 표면 건조형법(Roast sand mould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개방 주형법(Open sand mould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0. 도형제가 구비해야 할 성질 중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도포성이 양호할 것    
            ② 침투성이 양호할 것    
            ③ 소착현상이 양호할 것     
            ④ 열전도성이 낮을 것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소착현상이 양호할 것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1. 대기 중에서 용해하는 것에 비하여 전압이 낮고 용탕에 접하는 가스의 분압이 낮은 것이 특징인 주조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마그네틱 주조법    
            ② 자경성 주조법    
            ③ 진공 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CO₂ 주조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③ 진공 주조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2. 도가니 중에 가열 유지된 용탕 위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0.2 ~ 1.0 kg/㎠ 정도의 압력으로 압입시켜 도가니 안에 장치된 급탕관을 통하여 용탕을 중력과 반대 방향 으로 밀어 올려서 급탕관 상단에 설치된 주형에 주입하는 주조법은?       
            ① 진공 주조법    
            ② 저압 주조법     
            ③ 고압응고 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원심 주조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저압 주조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3. 주형 내에 주입된 금속에 용융 또는 반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가 완료될 때까지 기계적인 고압력을 가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는 주조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고압 응고 주조법     
            ② 저압 응고 주조법    
            ③ 원심 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정밀 주조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고압 응고 주조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4. 주형을 회전시켜 주입된 용탕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주물을 값싸게 주조하는 주조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금형 주조법    
            ② 정밀 주조법    
            ③ CO₂ 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원심 주조법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원심 주조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5. 원판상의 기어, 차륜, 풀리 등의 대칭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축의 둘레로 주형을 회전시키면서 회전축 중상의 탕구에 용탕을 주입시켜 주조품을 만드는 주조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진원심주조(True centrifugal casting)    
            ② 반원심주조(Semi centrifugal casting)     
            ③ 원심가압주조(Centrifuged casting)    
            ④ 인베스트먼트주조(Investment casting process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반원심주조(Semi centrifugal cast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6. 금속으로 만든 주형에 각종 합금의 용탕을 주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주조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마그네틱 주조법    
            ② 시멘트계 주조법    
            ③ 원심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금형주조법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금형주조법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7. 용융 금속에서 직접 압연과 동시에 빌릿(billet)을 연속적으로 작업하는 주조법은?       
            ① 진공 주조법    
            ② 연속 주조법    
            ③ CO₂주조법    
            ④ 석고 주조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연속 주조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8. 건조 규사와 100 ~ 200 메시(mesh) 정도의 수지 점결제를 배합한 합성사를 200 ~ 300℃로 가열 경화시켜 얇은 조개 껍질상의 주형을 만드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셸몰드 주조법(Shell mould process)     
            ② 다이캐스팅 주조법(Die casting machine)    
            ③ 인베스트먼트 주조법(Investment casting process)    
            ④ 풀몰드법(Full mould process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셸몰드 주조법(Shell mould process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69. 인베스트먼트 주조법에서 사용되는 원형의 재료는?       
            ① 금속     
            ② 왁스     
            ③ 모래    
            ④ 산화철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왁스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0. 소모성 원형인 발포성 폴리스티렌 원형을 사용하는 주조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쇼 프로세스     
            ② 석고 주형법    
            ③ 풀몰드법     
            ④ 칠주물 주조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풀몰드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1. 코크스(coke)를 열원으로 하는 용해로는?      
            ① 반사로    
            ② 아크로    
            ③ 유도로    
            ④ 큐폴라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큐폴라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2.주로 비철 금속 용해에 사용되는 용해로는?       
            ① 도가니로     
            ② 전기로    
            ③ 반사로    
            ④ 용광로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① 도가니로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3. 용해로에서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구리의 중량(kg)으로 규격을 표시하는 용해로는?      
            ① 도가니로     
            ② 용선로    
            ③ 용광로    
            ④ 전기로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도가니로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4.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금속을 용해하는 로는?       
            ① 용광로    
            ② 도가니로    
            ③ 전기로     
            ④ 용선로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기로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5.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광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온계는?      
            ① 광 고온계     
            ② 열전쌍 고온계    
            ③ 복사 고온계    
            ④ 풍압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광 고온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6. 주입용 기구로써 용융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는 기구는?      
            ① 레이들     
            ② 중추    
            ③ 송풍기    
            ④ 고온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레이들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7.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Si, Fe-Si, Ca-Si 등을 첨가하여 주철의 재질을 개선하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탈황    
            ② 접종    
            ③ 탈산    
            ④ 탈가스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② 접종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8. 용탕에서 접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온도는 몇 ℃ 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600℃ 이상    
            ② 800℃ 이상    
            ③ 1000℃ 이상    
            ④ 1400℃ 이상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1400℃ 이상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79. 주물 표면의 청정 방법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펀치아웃머신(Punchout machine)     
            ② 쇼트 블라스트(Shot blast)    
            ③ 샌드 블라스트(Sand blast)    
            ④ 하이드로 블라스트(Hydro blast)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펀치아웃머신(Punchout machin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0. 기계 가공을 하지 않는 주물 표면에 나타나는 많은 주물 결함은 각종 충전재나 페이스트로 보수할 수 있고, 결함 장소에 경화되어 주물 내에 남을 수 있는 특수 소재를 메꾸어 넣는 방법의 보수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접에 의한 보수    
            ② 충전재에 의한 보수     
            ③ 침투법에 의한 보수    
            ④ 메탈라이징에 의한 보수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충전재에 의한 보수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1. 주형에 주입된 용탕은 주형 외벽으로부터 냉각, 응고되기 시작하여 점차 내부 또는 상부로 응고가 진행된다. 응고될 때 수축에 의해서 용탕이 부족해지고 최종 응고 부위에 공동(空洞)이 생기는 주물의 결함은?      
            ①  균열(Crack)    
            ②  개재물(Inclusion)   
            ③  미세공(Pinhole)   
            ④ 수축공(Shrinkage cavity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수축공(Shrinkage cavity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2. 주형 내에 용탕이 합류될 때 그 경계면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아 형태가 생기는 주물의 결함은?      
            ① 소착(Sand burning)    
            ② 파임(Scab)    
            ③ 용탕경계(Cold shut)     
            ④  열간균열(Hot tear crack)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용탕경계(Cold shut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3. 주형과 용탕 간의 반응에 의해 주물사가 주물 표면에 융착되어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으로 주물사의 내화도가 낮거나 주형의 밀도가 낮을 경우에 발생하는 주물의 결함은?      
            ① 기공(Blow hole)     
            ② 파임(Scab)    
            ③ 꾸김(Buckle)     
            ④ 소착(Sand burning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소착(Sand burning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4. 용탕이 주형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응고된 주탕불량(misrun)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탕구방안을 개선한다.    
            ② 주입온도를 낮춘다.     
            ③ 주입속도를 빠르게 한다.    
            ④ 충분한 압탕을 준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주입온도를 낮춘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5. 주물이 응고될 때 고온에서 응고 수축이 저지되어 발생되는 열간균열(Hot tear crack)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합금의 함량을 조절한다.    
            ② 주형은 열팽창계수가 높도록 한다.     
            ③ 주물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주형을 설계한다.    
            ④ 최종 응고 부위에 냉금(Chill metal)을 부착시켜 응력 발생을 방지한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주형은 열팽창계수가 높도록 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6. 주물의 검사 중에서 외형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표면의 거칠기 검사    
            ② 부분적 변형 검사    
            ③ 합형의 틀림 검사    
            ④ 길이 검사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길이 검사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7. 주물의 검사에서 치수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두께 검사    
            ② 길이 검사    
            ③ 기울기 검사    
            ④ 화학 성분 검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화학 성분 검사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8. 주물의 내부 결함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자기 탐상 검사    
            ② 초음파 탐상 검사    
            ③ 기울기 검사    
            ④ 방사선 투과 검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기울기 검사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89. X선이나 γ 선 등의 방사선을 주물에 투과시키면 검사 부위의 두께나 밀도, 재질 등에 따라서 투과 상태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주물 내의 결함 부위를 검사하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초음파 탐상 검사    
            ② 방사선 투과 검사    
            ③ 자기 탐상 검사    
            ④ 형광 침투 탐상 검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방사선 투과 검사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0. 원형 제작 시 주물의 재질, 모양을 고려하여 수축률을 결정하여 검사를 하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두께 검사    
            ② 길이 검사     
            ③ 기울기 검사    
            ④ 중량 검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길이 검사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1. 원형 제작 시 가공이 쉽고 가벼워서 원형용 재료에  많이 사용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주철    
            ② 주강    
            ③ 석고    
            ④ 목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목재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2. 원형재료로 목재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로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금속에 비하여 재료비가 저렴하다.    
            ② 합성수지에 비하여 가공비가 저렴하다.    
            ③ 금속, 석고보다 가볍고 가공성이 좋다.    
            ④ 대량 생산과 특별한 정밀도를 고려하는 경우에 유리하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대량 생산과 특별한 정밀도를 고려하는 경우에 유리하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3. 원형의 종류 중 구조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현형(Solid pattern)    
            ② 회전형(Sweep pattern)    
            ③ 풀몰드형(Full mould pattern)     
            ④ 긁기형(Strickle pattern)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풀몰드형(Full mould pattern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4. 용융 금속은 주형 속에서 냉각, 응고 시에 수축이 생겨 주물이 주형보다 작아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실제 주물보다 크게 만들어 주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가공 여유    
            ② 수축 여유     
            ③ 보정 여유    
            ④ 빼기 기울기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수축 여유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5. 설계 도면에서 기계 절삭 가공을 위하여 미리 주물 표면에 그 만큼의 여유를 붙인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보정 여유    
            ② 주물 여유    
            ③ 가공 여유     
            ④ 라운딩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가공 여유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6. 주형에서 수직인 면을 가진 원형을 빼낼 때 그 면이 클수록, 길이가 길수록 작업이 곤란하여 주형이 파손되기 쉬우므로 원형을 빼내는 방향에 구배를 주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라운딩(Rounding)    
            ② 가공 여유(Finishing allowance)    
            ③ 수축 여유(Shrinkage allowance)    
            ④ 빼기 기울기(Pattern draft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빼기 기울기(Pattern draft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7. 원형의 두께가 얇거나 파손되기 쉬운 부분에 설치해 주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덧붙임     
            ② 라운딩    
            ③ 수축 여유    
            ④ 주물 여유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덧붙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8. 비중이 0.6인 목재로 원형을 제작하였더니 무게가 10kg이었다면 비중이 7.2인 주철 제품의 무게는 몇 kg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100 kg    
            ② 120 kg     
            ③ 140 kg    
            ④ 160 kg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120 kg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99. 알루미늄으로 만든 원형의 무게가 40kg 일 때 주철 용탕의 무게는 몇 kg 준비하면 되는가? (단, Al 비중 2.7, 주철 비중 7.8, 계수는 0.3)      
            ① 5 kg    
            ② 15 kg     
            ③ 25 kg    
            ④ 35 kg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15 kg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0. 목재의 건조 시 100㎜인 재료가 70㎜로 수축하였다면 수축률은 얼마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10 %    
            ② 20 %    
            ③ 30 %    
            ④ 40 %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30 %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1. 침탄 열처리(Carburization)를 하기 위한 기본 소재인 탄소강(Carbon steel)의 탄소 함유량은?      
            ① 0.2% C 이하    
            ② 0.4% C 이하    
            ③ 0.6% C 이하    
            ④ 0.8% C 이하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0.2% C 이하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2. 탄소가 0.45% 함유된 탄소강(Carbon steel)을 화염담금질(Flame hardening) 하였을 때 표면경도(HRC)는?      
            ① HRC 50    
            ② HRC 55    
            ③ HRC 60    
            ④ HRC 65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HRC 60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3. 분위기열처리(Atmosphere Heat-Treatment)에서 변성로(Reforming furnace)나 참탄로(Carburizing furnace)내에 쌓인 그을음(Sooting)을 공기와 함께 연소시켜 제거하는 작업은?      
            ① 노점(Dew point)    
            ② 화염 커튼(Flame curtain)   
            ③ 변성(Carrier)    
            ④ 번 아웃(Burn out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번 아웃(Burn out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4. 고주파 담금질(Induction hardening)은 유도코일(Induction coil)과 가열할 물체 사이를 흐르는 고주파 전류(High frequency current)가 코일과 가열할 물체의 표면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. 이러한 효과는?      
            ① 전류 효과(Electric current effect)    
            ② 근접 효과(Proximity effect)    
            ③ 표피 효과(Skin effect)    
            ④ 고주파 효과(High frequency effect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표피 효과(Skin effect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5. 탄소강(Carbon steel)을 담금질(Quenching)한 후 잔류 오스테나이트(Retained austenite)를 마텐자이트(Martensite)로 변태(Transformation)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오스템퍼링(Austempering)    
            ② 심냉처리(Sub-zero treatment)     
            ③ 질화처리(Nitriding)    
            ④ 침탄처리(Carburiz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심냉처리(Sub-zero treatment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6. 강을 담금질(Quenching) 열처리할 때 냉각의 3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비산(Splash) 단계     
            ② 증기막(Vapour barrier) 단계    
            ③ 비등((Boiling) 단계    
            ④ 대류(Convection) 단계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비산(Splash) 단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7. 탄소를 0.8% 함유한 탄소강(Carbon steel)을 A1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한 후 물에 냉각하면 나타나는 조직은?      
            ① 트루스타이트(Troostite)    
            ② 마텐자이트(Martensite)     
            ③ 소르바이트(Sorbite)    
            ④ 펄라이트(Pearlit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마텐자이트(Martensit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8. 구조용합금강(Structural alloy steel)인 SNC강(Ni-Cr강)을 열처리할 때 Cr 탄화물이 결정입계(Grain boundary)에 석출(Precipitation)하면 경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방지하는 열처리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830~880℃에서 유냉(Oil quenching)한다.    
            ② 650~700℃에서 풀림(Annealing)한다.    
            ③ 550~650℃에서 뜨임(Tempering)한다.     
            ④ 250~350℃에서 항온담금질(Isothermal quenching)한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550~650℃에서 뜨임(Tempering)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09. 마레이징강(Maraging steel)의 열처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마레이징강은 재가열하여도 뜨임(Tempering)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.    
            ② 마레이징강은 용체화처리(Solution heat treatment)나 시효(Aging)에 의해 강화시킨다.    
            ③ 마레이징강의 기본적인 열처리는 850℃에서 1시간 용체화처리한 후 공냉 또는 수냉한다.    
            ④ 마레이징강은 담금질은 잘 되지만 뜨임이 되지 않는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마레이징강은 담금질은 잘 되지만 뜨임이 되지 않는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0. 탄소공구강(Carbon tool steel)의 열처리에서 구상화풀림(Spheroidizing annealing)은 어떤 조직을 구상화시켜 강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Cementite     
            ② Pearlite    
            ③ Austenite    
            ④ Ferrite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Cementite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1. 고속도공구강(High speed steel)을 540~580℃로 뜨임처리(Tempering)를 하면 경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현상은?      
            ① 자경성 효과(Self hardening effect)    
            ② 제2차 경화 효과(Secondary hardening effect)     
            ③ 질량 효과(Mass effect)    
            ④ 열간 효과(Hot effect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제2차 경화 효과(Secondary hardening effect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2. 구상흑연주철(Ductile cast iron)은 Mg에 의한 백선화(White cast iron) 작용에 의해 균열(Crack)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풀림처리(Annealing)를 해야 한다. 이때 풀림처리 온도는?      
            ① 850~870℃    
            ② 740~750℃    
            ③ 520~550℃    
            ④ 250~500℃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520~550℃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3. Al-Cu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은 용체화처리(Solution heat treatment) 후 수냉하여 150~180℃에서 5~10시간 유지하면 최대 경도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열처리는?      
            ① 뜨임(Tempering)    
            ② 풀림(Annealing)    
            ③ 불림(Normalizing)      
            ④ 시효(Aging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시효(Ag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4. Cu-Be 합금(베릴륨 청동 : Beryllium bronze)을 경화(Hardening)시키기 위해 담금질 (Quenching)하고 뜨임처리(Tempering)를 하는데 뜨임처리 온도는?      
            ① 310~330℃     
            ② 460~520℃    
            ③ 580~600℃    
            ④ 760~780℃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310~330℃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5. 분위기 열처리로(Atmosphere Heat-Treatment Furnace)에서 노기 가스(Atmosphere gas)에 의한 폭발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노기 가스가 중단되었을 때는 즉시 가스 밸브를 닫는다.    
            ② 노가 고장났을 경우 즉시 산소를 공급하여 산화시킨다.     
            ③ 노가 고장났을 경우 안전범위 내에서 분위기 가스를 번아웃(Burn out)한다.    
            ④ 노기 가스의 압력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가스 밸브를 닫는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노가 고장났을 경우 즉시 산소를 공급하여 산화시킨다.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6. 시안화구리(Copper Cyanide) 도금(Plating)의 장점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철강 재료에 직접 도금을 할 수 있다.    
            ② 도금 상태는 황산구리(Cupric sulfate)보다 양호하다.    
            ③ 석출(precipitation)되는 구리의 결정이 매우 작다.    
            ④ 시안을 함유하기 때문에 독성이 크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시안을 함유하기 때문에 독성이 크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7. 황산구리(Cupric sulfate) 도금(Plating)에 사용하는 황산구리의 조성은?      
            ① 60~80 g/ℓ    
            ② 40~100 g/ℓ    
            ③ 150~250 g/ℓ     
            ④ 250~350 g/ℓ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150~250 g/ℓ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8. 광택 니켈 도금(Gloss nickel plating)에서 도금 용액의 성분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황산니켈(Nickel sulfate)    
            ② 염화암모늄(Ammonium Chloride)    
            ③ 염화니켈(Nickel chloride)    
            ④ 붕산(Boric acid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염화암모늄(Ammonium Chlorid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19. 니켈 도금(Nickel plating)에서 도금 용액 중에 알루미늄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도금에 미치는 영향은?      
            ① 거친 도금이 된다.    
            ② 피복력이 불량하고 음극 효율이 저하한다.    
            ③ 피복력이 불량하고 구름이 낀다.    
            ④ 구름이 끼고 전류밀도가 높은 곳이 탄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구름이 끼고 전류밀도가 높은 곳이 탄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0. 크롬 도금(Chromium plating)에서 크롬의 이론 석출량이 1Ah에서 0.323g이며, 전류효율이 15%이었다면 실제 석출량은?      
            ① 0.0485g     
            ② 0.485g    
            ③ 4.85g    
            ④ 48.5g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0.0485g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1. 크롬 도금(Chromium plating)에서 촉매 작용(Catalysis)을 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무수크롬산(Chromic acid)    
            ② 3가 크롬(trivalent chromium)    
            ③ 황산(Sulfuric acid)     
            ④ 질산(Nitric acid)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황산(Sulfuric acid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2. 금도금(Gold plating)에서 산성 도금 용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장점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전착물(Electrodeposit)이 치밀하다.    
            ② 음극 분극이 크고 균일 전착성(Equal Electroless)이 좋다.     
            ③ 핀홀(Pin hole)이 거의 없다.    
            ④ 내식성(corrosion resistance)이 좋은 평활한 도금(smooth plating)이 얻어진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음극 분극이 크고 균일 전착성(Equal Electroless)이 좋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3. 아연 도금(Zinc plating)의 방식 중에서 아연분말(Zinc dust)과 철을 접촉 가열시켜서 아연을 침투(Penetration)시키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융도금법(Hot plating)    
            ② 전기도금법(Electroplating)    
            ③ 세라다이징(Sheradizing)     
            ④ 크로마이징(Chromiz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세라다이징(Sheradiz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4. 베럴 도금(Barrel plating)에서 균일 전착성(Equal Electroless)이 가장 좋은 베럴(Barrel)의 회전수는??      
            ① 15~20 rpm    
            ② 12~15 rpm    
            ③ 10~12 rpm    
            ④ 6~8 rpm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④ 6~8 rpm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5. 도금(Plating) 약품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응급처치(First aid)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즉시 119에 신고를 한다.    
            ② 도금액이 옷에 묻었을 경우 옷을 즉시 벗는다.    
            ③ 황산구리가 피부에 묻었을 때 물로 충분히 씻는다.    
            ④ 수산화칼슘이 피부에 묻었을 경우 염산으로 중화시킨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수산화칼슘이 피부에 묻었을 경우 염산으로 중화시킨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6. 금속이나 비금속 등을 부분 가열하여 용융(Melting) 또는 반용융(Semi melting) 상태에서 접합(Joining)하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접(Welding)     
            ② 합금(Alloy)    
            ③ 프레스(Press)    
            ④ 주조(Cast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용접(Weld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7. 다음 중 용접(Welding)의 장점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재료가 절약된다.    
            ② 결합 효율(Coupling efficiency)이 향상된다.    
            ③ 기계적 결합(Mechnical coupling)보다 결합력이 우수하다.    
            ④ 용접부(Weld zone)가 열영향(Heat influence)으로 모재(Base metal)의 재질이 변한다.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용접부(Weld zone)가 열영향(Heat influence)으로 모재(Base metal)의 재질이 변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8. 접합되는 부분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간 상태(Cold state)에서 압력을 주어 접합하는 방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융접(Fusion welding)    
            ② 압접(Pressure welding)     
            ③ 납땜(Soldering)    
            ④ 주조(Cast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압접(Pressure weld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29. 아크 전류(Arc current)가 100A, 아크 전압(Arc voltage)이 20V, 용접속도(Weld speed)가 20cm/min이었을 경우 용접입열(Welding heat)은?      
            ① 2,000 J/cm    
            ② 4,000 J/cm    
            ③ 6,000 J/cm     
            ④ 8,000 J/cm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6,000 J/cm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0. 피복아크 용접봉(Coated electrode)의 작용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아크(Arc)를 안정하게 한다.     
            ② 용융점이 낮은 슬래그(Slag)를 형성한다.    
            ③ 용접금속의 정련작용(Refining)을 한다.    
            ④ 용접금속의 산화작용(Oxidation)을 한다.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용접금속의 산화작용(Oxidation)을 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1. 모재(Base metal)를 수평(Horizontal)으로 놓고 용접봉(Electrode)은 아래로 향하여 용접하는 자세는?      
            ① 아래보기 자세     
            ② 수평 자세    
            ③ 수직 자세    
            ④ 위보기 자세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아래보기 자세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2. 가스 용접(Gas welding)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혼합 가스(Mix gas)는?       
            ① 산소 가스와 질소 가스    
            ② 산소 가스와 아세틸렌 가스    
            ③ 산소 가스와 아르곤 가스    
            ④ 질소 가스와 LPG 가스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산소 가스와 아세틸렌 가스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3. 가스 용접(Gas welding)에 사용하는 산소 가스를 내용적 40ℓ의 용기에 35℃에서 200기압으로 압축하여 충전하였을 때 용기 속의 산소량은??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① 2,000    
            ② 4,000    
            ③ 6,000     
            ④ 8,000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8,000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4. 가스 용접(Gas welding)에 사용하는 산소 용기를 취급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산소 용기를 보관할 때는 눕혀서 보관한다.    
            ② 산소 용기를 운반할 때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한다.    
            ③ 산소 용기는 화기(불)로부터 멀리 두어야 한다.    
            ④ 산소 용기는 직사광선을 피하여 그늘진 곳에 놓아야 한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산소 용기를 보관할 때는 눕혀서 보관한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5. 점용접(Spot welding)의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접전류(Welding current)    
            ② 가압력(Pressure)    
            ③ 용접자세(Welding position)     
            ④ 통전시간(Resistance tim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용접자세(Welding position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6. 용접재(Weld metal)를 세게 맞대고 여기에 대전류를 통하여 전류의 저항열 (Heat resistant)로 가열시켜 큰 압력을 눌러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맞대기 저항 용접 (Butt resistance welding)이라고도 하는 용접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점 용접(Spot welding)     
            ② 업셋 용접(Upset welding)     
            ③ 시임 용접(Seam welding)    
            ④ 프로젝션 용접(Projection weld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업셋 용접(Upset weld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7. 가스 절단(Arc cutting)에서 절단 속도(Cutting speed)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산소 압력    
            ② 산소 농도    
            ③ 용기 용량      
            ④ 팁(Tip)의 형상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용기 용량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8. 슬래브(Slab) 등의 강괴(Ingot) 표면에 존재하는 흠 또는 개재물(Inclusion)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얇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은?       
            ① 가우징(Gouging)    
            ② 스카핑(Scarfing)     
            ③ 그루빙(Grooving)    
            ④ 아크 절단(Arc cutt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스카핑(Scarf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39.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나 연성(Ductility)을 알기 위한 기계적 파괴 시험법(Mechnical breaking test)이 아닌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방사선시험(Radiograph test)     
            ② 인장시험(Tensile test)    
            ③ 충격시험(Impact test)    
            ④ 굽힘시험(Bending test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방사선시험(Radiograph test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0. 용접부 검사 방법 중에서 용접표면 결함을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?      
            ① 초음파 검사    
            ② 방사선 투과 검사    
            ③ 매크로 검사    
            ④ 침투 검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④ 침투 검사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1. 전로(Converter) 공장에서 제강(Steelmaking)이 완료된 용강(Molten iron)은 연속 주조(Continuous casting) 공장으로 오기 전에 정련(Refining) 과정을 거칩니다. 이때 실시하는 버블링(Bubbling) 작업에 사용하는 불활성 가스(Inert gas)는?      
            ① 산소, 수소    
            ② 아르곤, 질소     
            ③ 질소, 산소    
            ④ 아르곤, 산소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아르곤, 질소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2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작업 전에 실시하는 정련(Refining)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강(Molten iron) 성분의 조정    
            ② 용강의 청정화    
            ③ 용강 온도 균일화    
            ④ 용강량의 조정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용강량의 조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3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작업에서 용강(Molten Iron)이 주형(Mold)에 달라붙지 않도록 주형을 진동하는 작업은?      
            ① 실링(Sealing)    
            ② 오실레이션(Oscillation)     
            ③ 버블링(Bubbling)    
            ④ 몰딩(Mold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오실레이션(Oscillation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4. 주형(Mold) 안에서 응고(Solidification)된 주편(Solidified piece)이 주형을 빠져나와 냉각수(Cooling water)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간접 냉각(Indirect cooling)    
            ② 기계 냉각(Machine cooling)    
            ③ 직접 냉각(Direct cooling)    
            ④ 공기 냉각(Air cool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③ 직접 냉각(Direct cooling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5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가 완료된 주편(Piece)을 절단한 후 바로 고온의 주편 표면에 존재하는 결함(Defect), 불순물(Impurity), 스케일(Scale) 등을 제거하는 작업은?       
            ① 열간 스카핑(Hot scarfing)    
            ② 냉간 스카핑(Cold scarfing)    
            ③ 손 스카핑(Hand scarfing)    
            ④ 뜨임 스카핑(Tempering scarf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열간 스카핑(Hot scarf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6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신기술 조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턴디시 교환 연연주(Tundish exchange endless casting)    
            ② 림드강 연연주(Rimmed steel endless casting)     
            ③ 이강종 연연주(Unlike steel endless casting)    
            ④ 주조 중 폭가변 연연주(Wide exchange endless cast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림드강 연연주(Rimmed steel endless cast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7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작업이 개시될 때 주형(Mold)내에 용강(Molten iron)을 채울 수 있도록 주형 바닥을 막아주고, 응고된 주편(Piece)을 핀치롤(Pinch roll)까지 인발 유도하는 장치는?       
            ① 레이들(Ladle)    
            ② 터렛(Turret)    
            ③ 턴디시(Tundish)    
            ④ 더미바(Dummy bar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더미바(Dummy bar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8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장치에서 턴디시(Tundish)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주형으로 용강의 공급량을 조정    
            ② 주형별로 용강을 분배    
            ③ 주형에 의한 1차 냉각    
            ④ 개재물 등의 불순물 분리 제거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주형에 의한 1차 냉각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49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조업에서 주조시간(Casting time)이 2시간, 준비시간 (Ready time)이 1시간, 대기시간(Waiting time)이 1시간이었다면 싸이클 타임(Cycle time)을 계산하면 몇 시간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1시간    
            ② 2시간    
            ③ 3시간     
            ④ 4시간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4시간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0. 연속주조(Continuous casting) 공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알아야할 안전사항으로 잘못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앞머리를 내놓고 작업모(Fatigue cap)를 착용하였다.     
            ② 신발은 운동화를 벗고 안전화(Safety shoes)로 바꿔 신었다.    
            ③ 용강이 외부로 뛰는 것에 대비해 작업복은 방염복(Heatproof clothes)으로 갈아입었다.    
            ④ 높은 온도의 용강(Molten iron)과 분진(Dust)에 대비해 보안경(Protective goggle)을 착용하였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앞머리를 내놓고 작업모(Fatigue cap)를 착용하였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1. 고로(용광로) 제선용 주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자철광    
            ② 적철광     
            ③ 갈철광    
            ④ 능철광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적철광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2. 슬래그(Slag)의 유동성을 좋게 하는 부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CaCO3는?      
            ① 백운석    
            ② 철광석    
            ③ 석회석     
            ④ 규사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석회석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3. 가루 철광석과 코크스(Coke)가루를 혼합한 다음 코크스를 연소시켜 철광석 가루를 덩어리로 만든 광석은?      
            ① 선철(Pig Iron)    
            ② 펠리트(Pellet)    
            ③ 석회(Lime)    
            ④ 소결광(Sinter Ore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소결광(Sinter Ore)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4. 고로(용광로)에서 많이 사용하는 코크스(Coke)의 역할로 적합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열원     
            ② 점결제    
            ③ 산화제    
            ④ 냉각제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열원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5. 고로(용광로) 본체 중 용선(Molten Iron)과 슬래그(Slag)가 저장되어 있으며 출선구 (Tapping Hole)가 설치된 곳의 명칭은?      
            ① 노구(Throat)    
            ② 노흉(Shaft)    
            ③ 노복(Belly)    
            ④ 노상(Hearth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노상(Hearth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6. 고로(용광로)에 장입되는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코크스(Coke)    
            ② 철광석(Iron Ore)     
            ③ 석회석(Lime Stone)    
            ④ 실리콘(Slicon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철광석(Iron Or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7. 고로(용광로) 내의 불어넣는 열풍 중 코크스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연소용 가스(Gas)의 명칭은?       
            ① 수소(H2)     
            ② 규소(Si)    
            ③ 산소(O2)     
            ④ 알곤(Ar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산소(O2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8.  고로(용광로) 내의 철광석이 코크스(Coke)와 반응하여 용선(Molten Iron)이 만들어지는 화학식은?     
            ① C+O=CO    
            ② FeO+C=Fe+CO     
            ③ Mn+O=MnO    
            ④ Si+O2=SiO2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FeO+C=Fe+CO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59. 제철소에서 중요하게 관리하는 슬래그(Slag)의 염기도를 나타내는 식은?      
            ① SiO2/CaO    
            ② CaO/SiO2     
            ③ MgO/Al2O3    
            ④ Al2O3/MgO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CaO/SiO2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0. 고로(용광로) 내에서 출선할 때 용선과 함께 나와 용선 위에 떠있는 물질로 주로 산화물로 되어 있는 찌꺼기는?       
            ① 슬래그(Slag)     
            ② 코크스(Coke)    
            ③ 일산화탄소(CO)    
            ④ 슬러지(Sludge)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슬래그(Sla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1. 전로제강용으로 사용되는 주원료로 고로에서 생산하여 공급하며 주요성분이 Fe로 되어 있는 원료는?      
            ① 용선(Molten Iron)     
            ② 석회석(Lime Stone)    
            ③ 고철(Scrap)    
            ④ 형석(CaF2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용선(Molten Iron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2. 전로조업을 할 때 용강 중에 탄소(C)가 목표치보다 낮을 경우 투입하는 부원료로 적합한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석회석(CaCO3)    
            ② 고철(Scrap)    
            ③ 코크스(Coke)     
            ④ 철광석(Fe2O3)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코크스(Cok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3. 정련을 위하여 전로 내 용선에 산소를 불어넣는 장치의 명칭은?      
            ① 호퍼(Hopper)    
            ② 스키머(Skimmer)    
            ③ 랜스(Lance)     
            ④ 주형(Mold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랜스(Lanc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4. 전로 내에 장입(Charging)된 용선중의 불순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어넣는 산화 정련용 가스는?      
            ① 수소(H2)     
            ② 질소(N2)    
            ③ 알곤(Ar)    
            ④ 산소(O2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④ 산소(O2)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5. 고로에서 가져온 용선중의 S, P 등의 불순물을 전로에 장입하기 전에 제거하는 작업은?      
            ① 제선원료 사전처리    
            ② 소결     
            ③ 노외정련    
            ④ 용선예비처리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④ 용선예비처리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6. 전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고철 중에 수분이 많으면 어떤 사고가 발생되는가?      
            ① 용강온도 급증    
            ② 가스 중독    
            ③ 폭발     
            ④ 레이들 파손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폭발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7. 전로 조업을 할 때 전로 내에 산소를 불어 넣는 이유는 용선 중의 어떤 불순물을 주로 제거하기 위함인가?      
            ① S    
            ② C     
            ③ As    
            ④ B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② C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8. 전로 내 용선중의 5대 불순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제거되는 화학식으로 맞는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Si + 2O = SiO2     
            ② Mg + O = MgO    
            ③ Ti + 2O = TiO2    
            ④ 2Al + 3O= Al2O3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Si + 2O = SiO2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69. 전로조업 중 용강온도가 목표치보다 너무 높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?      
            ① 고철 투입     
            ② 코크스 투입    
            ③ 산소 추가 투입    
            ④ 조업 중단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고철 투입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0. 전로에 용선 90톤, 고철 10톤을 장입하여 용강 98톤과 슬래그 2톤을 생산하였다면 출강실수율은?      
            ① 90%    
            ② 92%    
            ③ 96%    
            ④ 98%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98%p[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1. 전기로제강에서 철원이 되는 주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고철     
            ② 용선    
            ③ 냉선    
            ④ 합금철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 ① 고철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2. 강중 기공흠(Blow Hole)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탈산제중 산소와 친화력이        가장 큰 원소는?       
            ① Si    
            ② Al     
            ③ Mn    
            ④ Sn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Al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3. 전기로의 주요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노용 변압기    
            ② 집진설비    
            ③ 용선 예비처리장치     
            ④ 전극 승강장치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용선 예비처리장치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4.  전기로는 원료장입에 앞서 용손된 노 내화물을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내화물은?       
            ① 알루미나(Alumina)    
            ② 실리카(Silica)    
            ③ 지르콘(Zircon)    
            ④ 돌로마이트(Dolomite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돌로마이트(Dolomit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5. 전기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노 바닥부분에 어떤 고철을 장입해야 하는가?      
            ① 대형 고철    
            ② 중간 중량고철    
            ③ 중량고철    
            ④ 경량고철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경량고철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6. 전로제강법과 비교하여 전기로제강법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용강 온도조절이 쉽다.    
            ② 생산성이 우수하다.     
            ③ 특수강제조가 쉽다.    
            ④ 사용원료 제약이 적다.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생산성이 우수하다.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7. 전기로조업 중 전력 투입량을 최대로 해야 하는 조업단계는?      
            ① 출탕기조업    
            ② 산화기조업    
            ③ 용해기조업     
            ④ 환원기조업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용해기조업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8. 전기로 환원기조업 때 주로 제거되는 원소는?      
            ① 황(S)     
            ② 인(P)    
            ③ 탄소(C)    
            ④ 규소(Si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황(S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79. 전기로조업의 주요공정은 용해기조업→ (       )조업→ 제재조업→ 환원기조업 순서로 이루어진다. (       )에 맞는 조업은?      
            ① 산화기     
            ② 중화기    
            ③ 원료장입    
            ④ 노보수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산화기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0. 전기로조업을 마치고 출강할 때 용강을 받는 용기의 명칭은?      
            ① 주형(Mold)    
            ② 레이들(Ladle)     
            ③ 슬래그 포트(Slag Pot)    
            ④ 슈트(Shute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레이들(Ladl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1. 용강 레이들(Ladle)내의 슬래그(Slag) 위에 3상 교류 전극 봉(Electrode Bar)을 담그고 아크(Arc)를 발생시키어 정련하는 특수정련법의 명칭은?      
            ① AOD(Argon Oxgen Decarburization)법    
            ② VOD(Vacuum Oxgen Decarburization)법    
            ③ LF(Ladle Furnace)법     
            ④ PI(Powder Injection)법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LF(Ladle Furnace)법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2. 특수정련법의 하나인 AOD(Argon Oxgen Decarburization)법의 효과로 부적합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승온    
            ② 탈탄    
            ③ 탈황     
            ④ 탈가스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탈가스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3. 레이들(Ladle)내에 있는 용강 중에 불활성가스를 불어 넣어 용강을 교반(Stirring)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      
            ① 버블링(Bubbling)    
            ② 슬로핑(Slopping)    
            ③ 스피팅(Spitting)    
            ④ 보일링(Boil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버블링(Bubbl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4. 레이들(Ladle) 위에 진공조(Vacuum Champer)를 설치하여 레이들내 용강을 진공조 내로 끌어올려 탈가스를 하는 특수정련 장치의 명칭은?      
            ① AOD(Argon Oxgen Decarburization)법    
            ② VOD(Vacuum Oxgen Decarburization)법    
            ③ LF(Ladle Furnace)법    
            ④ RH(Ruhrstahl Hereaus)법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RH(Ruhrstahl Hereaus)법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5. VOD(Vacuum Oxgen Decarburization) 정련은 탈가스를 목적으로 한다. 다음 중 탈가스 대상이 아닌 가스는?       
            ① CO    
            ② H2    
            ③ Ar    
            ④ N2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Ar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6. 슬래브(Slab)나 블룸(Bloom) 등의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(Roll)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 압하를 가하여 판재나 선재 등을 생산하는 가공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       
            ① 단조(Forging)    
            ② 압연(Rolling)     
            ③ 프레스(Press)    
            ④ 주조(Cast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압연(Roll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7. 두께가 50~30mm, 폭이 350~2,000mm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판재 압연용 소재의 명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       
            ① 강괴(Ingot)    
            ② 블룸(Bloom)    
            ③ 슬래브(Slab)     
            ④ 빌릿(Billet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슬래브(Slab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8. 열간압연용 소재인 슬래브(Slab)를 압연하기 전에 검사하는 항목으로 부적합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표면    
            ② 치수    
            ③ 형상    
            ④ 편석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편석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89. 열간압연을 위하여 압연소재를 가열하는 설비의 명칭은?      
            ① 가열로     
            ② 보온로    
            ③ 열처리로    
            ④ 소성로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가열로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0. 다음은 압연에 필요한 수식으로 무엇을 산출하기 위한 것인가? ⦁ △h = h0 - h1 (h0 : 압연 전 소재 두께, h1 : 압연 후 소재 두께)      
            ① 연신율    
            ② 팽창율    
            ③ 압하율    
            ④ 압하량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압하량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1. 열간 압연 시 가열로에서 나온 압연용 소재를 사상 압연(Finishing Mill)하기에 적합하도록 압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       
            ① 조압연     
            ② 권취압연    
            ③ 다듬질압연    
            ④ 보조압연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조압연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2. 압연용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슬래브(Slab)는 다음 중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적합한가?      
            ① 선재(Wire Rod)    
            ② 후판(Plate)     
            ③ 환봉(Bar)    
            ④ 형강(Section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후판(Plate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3. 열간 압연 코일(Hot Rolled Coil)을 생산하는 열간 압연 공정에서 사상압연 다음의 공정으로 맞는 것은?       
            ① 스케일 제거    
            ② 가열    
            ③ 냉각     
            ④ 조압연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냉각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4. 열간 압연에서 압연을 마치면 코일형태로 감아 열연 코일(HR Coil)을 제조하는 설비의 명칭은?       
            ① 전단기(Divider)    
            ② 채우기(Filler)    
            ③ 압연기(Roller)    
            ④ 권취기(Coiler)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권취기(Coiler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5. 냉간압연 소재인 열연코일(HR Coil)의 표면의 산화철(Scale)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화학처리제로 산세(Pickling)효과가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질산    
            ② 인산    
            ③ 초산    
            ④ 염산 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④ 염산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6. 냉간압연에 의해 생산된 냉간압연 코일(Cold Rolled Coil)의 용도로 적합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가전제품용     
            ② 조선용    
            ③ 보일러용    
            ④ 교량용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가전제품용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7. 냉간압연(Cold Rolling)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로 적합한 것은?      
            ① 슬래브(Slab)    
            ② 열연코일(HR Coil)     
            ③ 후판(Plate)    
            ④ 바(Bar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열연코일(HR Coil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8. 냉간압연을 마친 강판표면에 부착된 압연유, 기계유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       
            ① 정련(Refining)    
            ② 도금(Coating)    
            ③ 청정(Cleaning)     
            ④ 산세(Pickl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③ 청정(Clean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199. 냉간압연에 의해 발생된 내부응력으로 가공성이 떨어진 강판에 600~850℃로 열을 가하여 가공성을 부여하는 열처리방법은?       
            ① 소둔(Annealing)     
            ② 소입(Quenching)    
            ③ 소려(Tempering)    
            ④ 소준(Normaliz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① 소둔(Annealing)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Q. 200. 냉간압연을 마친 강판의 기계적 성질개선과 표면 성상을 조정하기 위하여 압하율 0.3~3%정도로 압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   
            ① 조압연(Rough Rolling)    
            ② 조질압연(Skin Pass Rolling)     
            ③ 사상압연(Finish Rolling)    
            ④ 가압압연(Reduction Rolling)    
            
Right Ans:- ② 조질압연(Skin Pass Rolling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