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(전기⦁전자제품제조업)
  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1. 300/500 V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의 약호는? 
          ① NRF 
          ② CV 
          ③ NRI 
          ④ FTC 
          
Right Ans:- ③ NRI 
          
          Q. 2. 줄(Joule)의 법칙에 의하여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한다. 줄의 법칙을 칼로리(cal)로 표현한 공식은? 
          ① H=0.24I
2Rt 
          ② H=0.24AIRt 
          ③ H=I
2Rt 
          ④ H=IRt 
          
Right Ans:- ① H=0.24I2Rt 
          
          Q. 3. 전하의 이동을 전류라고 한다. 전류의 단위는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V 
          ② A 
          ③ W 
          ④ Ω 
          
Right Ans:- ② A 
          
          Q. 4. 전력케이블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은? 
          ① NR 
          ② NF 
          ③ EV 
          ④ CV 
          
Right Ans:- ④ CV 
          
          Q. 5. 어느 두 점 사이를 5 c의 전하가 이동하여 외부에 대해 100 J의 일을 했다면, 두 점 사이의 전위차는 몇 V 인가? 
          ① 10 
          ② 20 
          ③ 30 
          ④ 4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20 
          
          Q. 6. 100 V의 전압을 인가할 때 10 A의 전류가 흐르는 전열기가 있다. 이 전열기의 전력 P(kW)는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2 
          ③ 3 
          ④ 4 
          
Right Ans:- ① 1 
          
          Q. 7. 100 V의 전압을 인가할 때 10 A의 전류가 흐르는 전열기가 있다. 이 전열기를 하루에 2시간씩 30일간 사용한다면, 이 전열기의 전력 P(kW) 및 30일간의 전력량(kWh)은
           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4, 30 
          ② 3, 40 
          ③ 2, 50 
          ④ 1, 60 
          
Right Ans:- 
          
          Q. 8. 옴(Ohm’s)의 법칙은 “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인가된 전압에 반비례한다.” 이때의 비례상수를 저항이라 하고 R로 표시한다. 수식과 저항의 단위는? 
          ① R=RV,A 
          ② I=V/R,Ω 
          ③ V=RI,V 
          ④ V=I/R,Ω 
          
Right Ans:- ② I=V/R,Ω 
          
          Q. 9. 220V인 선로에서 전선의 저항이 22Ω이면 이 선로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?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5 
          ③ 10 
          ④ 15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0 
          
          Q. 10. 전선 재료로서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도전율이 클 것 
          ② 접속이 쉬울 것 
          ③ 가요성이 풍부할 것 
          ④ 인장강도가 비교적 적을 것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인장강도가 비교적 적을 것 
          
          Q. 11. 케이블의 약호 표시 중 CV가 뜻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폴리에틸렌절연 부틸고무시스 케이블 
          ② 비닐절연 가교폴리에틸렌시스 케이블 
          ③ 클로로플렌고무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
          ④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
          
          Q. 12. 전선을 자르거나 직각으로 구부릴 때 사용하며, 모든 작업시 항상 갖추고 있어야 하는 필수적인 기본공구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펜치 
          ② 니퍼 
          ③ 스트리퍼 
          ④ 롱노우즈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스트리퍼 
          
          Q. 13. 작업을 완료한 후 회로를 정상적으로 결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하는 공구는? 
          ① 벨테스터 
          ② 스트리퍼 
          ③ 니퍼 
          ④ 롱노우즈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벨테스터 
          
          Q. 14. 전선의 피복을 수직으로 벗기는데 편리한 공구는? 
          ① 펜치 
          ② 오리스트리퍼 
          ③ 니퍼 
          ④ 롱노우즈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오리스트리퍼 
          
          Q. 15. 형상에 따른 전선의 접속방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직선접속 
          ② 분기접속 
          ③ 종단접속 
          ④ 박스접속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박스접속 
          
          Q. 16. 전선을 직선 접속할 때 2.6 mm 이하의 단선에 적용하는 접속방법은? 
          ① 브리타니어 직선접속 
          ② 권선 직선접속 
          ③ 트위스트 직선접속 
          ④ 단권 직선접속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트위스트 직선접속 
          
          Q. 17. “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( )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접속하여야 하며, 전선의 세기를 ( ) % 이상 감소시키지 않아야 한다.”에서 ( ) 안에 들어갈 적합한 말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전류, 20 
          ② 저항, 20 
          ③ 전압, 10 
          ④ 전력, 1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저항, 20 
          
          Q. 18.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외피는 자기소화성 난연 재질이다. 
          ② 커넥터의 색상에는 황색, 적색, 청색, 회색이 있으며, 색상 별로 규격이 정해져 있다. 
          ③ 커넥터 접속을 위하여 박스 내에서 전선의 여유는 5 ㎝ 정도 되도록 한다. 
          ④ 접속하려는 전선의 심선이 2∼3 가닥인 경우, 전선의 피복을 10 mm 정도 벗기고 심선을 나란히 합쳐 소형 커넥터를 사용하여 접속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커넥터 접속을 위하여 박스 내에서 전선의 여유는 5 ㎝ 정도 되도록 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9. 전선과 스터드 단자의 접속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? 
          ① 전선을 고리형으로 만들고 나사를 죄어 접속한다. 
          ② 전선을 직접 밀어 넣고 나사를 죄어 접속한다. 
          ③ 누름 금구가 있으면 전선에는 납땜을 하지 않아도 된다. 
          ④ 압축 또는 납땜에 의해 전선과 접속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압축 또는 납땜에 의해 전선과 접속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20. 아우트렛 박스에서 전등 선로를 연결하고 있다. 접속 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? 
          ① 비닐 테이블 
          ② 압칙단자 
          ③ 와이어 커넥터 
          ④ 레이진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와이어 커넥터 
          
          Q. 21. 전선 및 케이블의 중간 접속재로 사용되는 것은? 
          ① 링 슬리브 
          ② 압착 터미널 
          ③ 와이어 커넥터 
          ④ 칼 브럭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링 슬리브 
          
          Q. 22. 전선의 직선단자로 사용되는 금속 단자는? 
          ① 링 슬리브 
          ② 스터드 단자 
          ③ 와이어 커넥터 
          ④ 고리형 단자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스터드 단자 
          
          Q. 23. 분전함 내에 설치하는 수지제 덕트에 수납하기에 적합한 전선은? 
          ① 와이어 
          ② 코드 
          ③ 케이블 
          ④ 캡타이어 케이블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와이어 
          
          Q. 24. 합성수지관 공사에 적합한 전선은? 
          ① 나전선 
          ② 절연전선 
          ③ 코드 
          ④ 케이블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절연전선 
          
          Q. 25. 합성수지관 공사에서 배관의 지지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 
          ① 0.5 
          ② 1.0 
          ③ 1.5 
          ④ 2.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.5 
          
          Q. 26. 합성수지관 및 금속관 공사에서 16 mm 라고 표기되어 있다. 무엇을 의미하는가? 
          ① 두께 중심과 두께 중심의 사이 
          ② 외경 
          ③ 내경 
          ④ 나사 피치와 피치 사이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내경 
          
          Q. 27. 금속관을 사용할 때 케이블 피복 손상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은? 
          ① 로크너트 
          ② 커플링 
          ③ 엘보 
          ④ 부싱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부싱 
          
          Q. 28. 금속관 공사의 인입구관 끝에 사용하는 재료는? 
          ① 엔트런스 캡 
          ② 링 리듀서 
          ③ 엘보 
          ④ 부싱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엔트런스 캡 
          
          Q. 29. 전선관 공사를 할 경우 경간이 너무 길거나 구부러지는 개소가 많아 배관 입선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, 전선의 접속이 아닌 입선 목적에만 사용하는 중간박스는? 
          ① 조인트박스 
          ② 풀박스 
          ③ 엘보 
          ④ 부싱 
          
Right Ans:- ② 풀박스 
          
          Q. 30. 전선관 공사를 할 경우 경간이 너무 길거나 구부러지는 개소가 많아 배관 입선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전선의 접속점을 만들어도 문제가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박스는?
          
          ① 엘보 
          ② 풀박스 
          ③ 조인트박스 
          ④ 부싱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조인트박스 
          
          Q. 31. 금속재 사다리형 전선 관로로서 천장으로부터 달대볼트로 행거를 설치, 행거 위에 고정시키거나 벽면에 가대를 하여 브라켓을 설치 ․ 사용하는 관로공사는? 
          ① 플로어덕트 공사 
          ② 금속덕트 공사 
          ③ 버스덕트 공사 
          ④ 케이블트레이 공사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케이블트레이 공사 
          
          Q. 32. 케이블트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는 전선은? 
          ① HFIX 
          ② FR-8 
          ③ FR-3 
          ④ F-CV 
          
Right Ans:- ① HFIX 
          
          Q. 33. 주로 전기실, 발전기실 등의 일반인의 출입이 적은 실내에 사용되며, 바닥에 홈을 파고 홈에 덮개를 덮어 사용하는 관로공사는? 
          ① 플로어덕트 공사 
          ② 배선용피트 공사 
          ③ 버스덕트 공사 
          ④ 금속덕트 공사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배선용피트 공사 
          
          Q. 34. 실내의 변압기와 배전반 사이의 간선에서 분기접점이 없는 전선로에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덕트는? 
          ① 트롤리 버스덕트 
          ② 플러그인 버스덕트 
          ③ 피더 버스덕트 
          ④ 와이어덕트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피더 버스덕트 
          
          Q. 35. 연질합성수지관으로서 가로등 배관 등 주로 지중 배관에 사용하는 전선관은? 
          ① 금속 전선관 
          ② 플렉시블 전선관 
          ③ PVC 전선관 
          ④ 폴리에틸렌(PE) 전선관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폴리에틸렌(PE) 전선관 
          
          Q. 36. 지중전선관로의 허용전류를 결정할 때 기준온도는? 
          ① 20 ℃ 
          ② 30 ℃ 
          ③ 40 ℃ 
          ④ 50 ℃ 
          
Right Ans:- ① 20 ℃ 
          
          Q. 37. 금속덕트 공사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 
          ① 1.5 
          ② 3.0 
          ③ 4.0 
          ④ 5.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3.0 
          
          Q. 38. 플로어덕트 공사의 시설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전선은 연선을 사용할 것. 
          ② 전선은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. 
          ③ 전선은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. 
          ④ 플로어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선은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. 
          
          Q. 39. 과전류차단기로서 배선용차단기(MCCB)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? 
          ① 정격전류에 1.25배의 전류로 자동적으로 즉시 동작할 것 
          ② 정격전류에 2배의 전류로 융단 될 것 
          ③ 정격전류에 1.1배의 전류에 견딜 것 
          ④ 정격전류에 1배의 전류로 자동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할 것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정격전류에 1배의 전류로 자동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할 것 
          
          Q. 40. 누전차단기(ELB)의 내부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동작부 
          ② 검출부 
          ③ 영상변류기 
          ④ 차단부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동작부 
          
          Q. 41. 교류 또는 직류 전동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자석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접촉부를 동작시키는 개폐기는? 
          ① 배선용차단기(MCCB) 
          ② 전자접촉기(MC) 
          ③ 누전차단기(ELB) 
          ④ 과전류계전기(OCR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전자접촉기(MC) 
          
          Q. 42. 고압에 사용하는 퓨즈 중에서 포장퓨즈는? 
          ① 실 퓨즈 
          ② 훅 퓨즈 
          ③ 통형 퓨즈 
          ④ 판형 퓨즈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통형 퓨즈 
          
          Q. 43. 3로 스위치 1개에는 몇 가닥의 전선이 필요한가? 
          ① 6 
          ② 5 
          ③ 4 
          ④ 3 
          
Right Ans:- ④ 3 
          
          Q. 44. 단극 스위치인 경우 3구 스위치의 전선 가닥수는? 
          ① 4 
          ② 5 
          ③ 6 
          ④ 7 
          
Right Ans:- ① 4 
          
          Q. 45. 변압기 2차 측에는 어떤 접지를 하여야 하는가? 
          ① 제1종 접지공사 
          ② 제2종 접지공사 
          ③ 제3종 접지공사 
          ④ 특별 제3종 접지공사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제2종 접지공사 
          
          Q. 46.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몇 오옴 이하이어야 하는가? 
          ① 5 Ω 
          ② 10 Ω 
          ③ 30 Ω 
          ④ 100 Ω 
          
Right Ans:- ② 10 Ω 
          
          Q. 47.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몇 오옴 이하이어야 하는가? 
          ① 5 Ω 
          ② 10 Ω 
          ③ 30 Ω 
          ④ 100 Ω 
          
Right Ans:- ② 10 Ω 
          
          Q. 48. 피뢰설비에서 서지보호장치는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CB 
          ② TR 
          ③ SPD 
          ④ L.A 
          
Right Ans:- ③ SPD 
          
          Q. 49. 접지공사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감전 방지 
          ② 이상전압의 억제 
          ③ 전로의 대지전압 상승 
          ④ 보호계전기의 동작확보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로의 대지전압 상승 
          
          Q. 50. 접지공사에 적용하는 접지선의 약호는? 
          ① GV 
          ② HIV 
          ③ CV 
          ④ EV 
          
Right Ans:- ① GV 
          
          Q. 51. 1개의 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기량[C]은? 
          ① 1.602×10
-19 
          ② 9.109×10
-31 
          ③ 1.602×10
19 
          ④ 9.109×10
31 
          Right Ans:- ① 1.602×10-19 
          
          Q. 52. 2[㎌]과 3[㎌]의 콘덴서 2개를 병렬로 연결하였다. 합성 정전 용량[㎌]은? 
          ① 1.2 
          ② 2 
          ③ 3 
          ④ 5 
          
Right Ans:- ④ 5 
          
          Q. 53. 3[Ω]과 6[Ω]의 저항 2개를 병렬로 연결하였다. 합성 저항[Ω]은? 
          ① 1.2 
          ② 2 
          ③ 3 
          ④ 9 
          
Right Ans:- ② 2 
          
          Q. 54 . 10-6 은 μ(micro)이다. 106의 기호는? 
          ① k(kilo) 
          ② T(tera) 
          ③ M(mega) 
          ④ P(peta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M(mega) 
          
          Q. 55. 다음 그림은 회로 시험기(Tester)로 저항을 측정하였더니 측정된 눈금이다. 측정 단자를 ×10 단자에 선택을 하고 측정하였다면 저항값[Ω]은 얼마인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40 
          ② 50 
          ③ 400 
          ④ 500 
          
Right Ans:- ④ 500 
          
          Q. 56. 저항의 색상이 순서대로 노랑, 보라, 빨강 순으로 되어 있다면 이 저항의 저항값[Ω]은? 
          ① 47 
          ② 470 
          ③ 4700 
          ④ 4700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4700 
          
          Q. 57. 콘덴서(condenser)의 종류 중 극성이 있는 것은? 
          ① 세라믹 콘덴서 
          ② 마일러 콘덴서 
          ③ 전해 콘덴서 
          ④ 종이 콘덴서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해 콘덴서 
          
          Q. 58. 다음 회로에서 R1=5[Ω], R2=5[Ω], R3=10[Ω]이다. 합성 저항[Ω]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10 
          ② 12.5 
          ③ 20 
          ④ 25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12.5 
          
          Q. 59. 그림에서 C1=4[㎌], C2=6[㎌]이다. 합성 정전 용량[㎌]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2.4 
          ② 4 
          ③ 6 
          ④ 10 
          
Right Ans:- ① 2.4 
          
          Q. 60. 옥내 배선, 스위치 및 콘센트 등의 절연 저항을 측정할 경우는 모든 스위치를 열어 ( ㉠ )상태로 한 다음 ( ㉡ )를 이용하여 측정한다. 에서 ㉠, ㉡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㉠ - 부하, ㉡ - 접지 저항계 
          ② ㉠ - 부하, ㉡ - 절연 저항계 
          ③ ㉠ - 무부하, ㉡ - 접지 저항계 
          ④ ㉠ - 무부하, ㉡ - 절연 저항계 
          
Right Ans:- ④ ㉠ - 무부하, ㉡ - 절연 저항계 
          
          Q. 61. 그림의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직류 전원 
          ② 교류 전원 
          ③ 접속 
          ④ 접지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접지 
          
          Q. 62. 그림의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배선용 차단기 
          ② 누전 차단기 
          ③ 분전반 
          ④ 배전반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누전 차단기 
          
          Q. 63. 그림에서 R1=2[Ω], R2=5[Ω]이며, V=10[V]이다. R1에 흐르는 전류 I1은 몇
            [A]인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2 
          ② 3 
          ③ 5 
          ④ 7 
          
Right Ans:- ③ 5 
          
          Q. 64. 교류의 1회 변화를 1사이클이라 하며, 1사이클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주기라 한다. 또한 1초 동안에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를 주파수라 하는데, 이 주파수의 단위는?
          
          ① [Hz] 
          ② [A] 
          ③ [V] 
          ④ [Ω] 
          
Right Ans:- ① [Hz] 
          
          Q. 65. 다음 중 고유 저항이 10-4 ~ 106[Ω․m]인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? 
          ① 도체 
          ② 절연체 
          ③ 반도체 
          ④ 초전도체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반도체 
          
          Q. 66. 전기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자 전압계와 전류계를 연결하였다. 이 때, 전압계와 전류계의 연결 방법이 옳게 된 것은? 
          ① 전압계-직렬, 전류계-병렬 
          ② 전압계-병렬, 전류계-직렬 
          ③ 전압계-병렬, 전류계-병렬 
          ④ 전압계-직렬, 전류계-직렬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전압계-병렬, 전류계-직렬 
          
          Q. 67. 2전력계법에 의해 평형 3상 전력을 측정하였더니 전력계가 500[W], 1000[W]를 지시하였다. 이 때 소비전력[W]은? 
          ① 500 
          ② 1000 
          ③ 1500 
          ④ 200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500 
          
          Q. 68. 전기 도면에서 그림과 같은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? 
          
          ______________
          ① 천장 은폐 배선 
          ② 바닥 은폐 배선 
          ③ 노출 배선 
          ④ 바닥 노출 배선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천장 은폐 배선 
          
          Q. 69. 전류가 1초 동안에 한 일을 무엇이라 하는가? 
          ① 전압 
          ② 저항 
          ③ 임피던스 
          ④ 전력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전력 
          
          Q. 70. 전기 회로에서 저항의 양단에 전압을 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저항에 반비례하고 가해진 전압에 비례한다는 것은 어느 법칙인가? 
          ① 주울의 법칙 
          ② 오옴의 법칙 
          ③ 키르히호프의 법칙 
          ④ 패러데이의 법칙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오옴의 법칙 
          
          Q. 71.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양단에 100[V]를 공급하였다. 회로에 흐르는 전류[A]는 얼마인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2 
          ③ 4 
          ④ 1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4 
          
          Q. 72. 3[Ω]과 6[Ω]를 병렬로 연결하고 20[V]의 전압을 가하였다. 이 때, 합성 저항과 전체 흐르는 전류[A]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? 
          ① 합성저항 : 2[Ω], 전류 : 10[A] 
          ② 합성저항 : 3[Ω], 전류 : 6.6[A] 
          ③ 합성저항 : 6[Ω], 전류 : 3.3[A] 
          ④ 합성저항 : 9[Ω], 전류 : 2.2[A] 
          
Right Ans:- ① 합성저항 : 2[Ω], 전류 : 10[A] 
          
          Q. 73. 콘덴서의 용량이 10[㎌], 15[㎌] 두 개가 있다. 이 두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 용량[㎌]은? 
          ① 6 
          ② 10 
          ③ 15 
          ④ 20 
          
Right Ans:- ① 6 
          
          Q. 74. 다음 콘덴서 중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은? 
          ① 전해 콘덴서 
          ② 세라믹 콘덴서 
          ③ 마일러 콘덴서 
          ④ 바리콘(varicon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바리콘(varicon) 
          
          Q. 75. 콘덴서의 용량이 4[㎌], 6[㎌] 두 개가 있다. 이 두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 용량[㎌]은? 
          ① 2.4 
          ② 4 
          ③ 6 
          ④ 10 
          
Right Ans:- ④ 10 
          
          Q. 76. 그림과 같은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다이오드(diode) 
          ② 실리콘 제어 정류기(SCR) 
          ③ 트랜지스터(transister) 
          ④ 다이액(diac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실리콘 제어 정류기(SCR) 
          
          Q. 77. 그림과 같은 기호는 어떤 게이트(Gate)를 의미하는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AND 
          ② NOT 
          ③ OR 
          ④ NAND 
          
Right Ans:- ④ NAND 
          
          Q. 78. 콘덴서의 용량이 C이고 공급 전압이 V일 때 저장되는 정전 에너지(W)는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CV[J] 
          ② 1/2CV[J] 
          ③ 1/2CV
2[J] 
          ④ 1/2C
2V[J]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/2CV2[J] 
          
          Q. 79. 같은 종류의 도선이라도 도선의 단면적이( ㉠ ) 단위 시간에 그 단면을 지나는 자유 전자의 수가 많아지므로 저항이 작아 전류가 잘 흐르고, 도선의 길이가 ( ㉡ ) 자유 전자가
            원자들과 충돌하는 횟수가 많아지므로 저항이 커서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한다. ( )안에 들어갈 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? 
          ① ㉠ - 넓을수록, ㉡ - 길수록 
          ② ㉠ - 넓을수록, ㉡ - 짫을수록 
          ③ ㉠ - 작을수록, ㉡ - 길수록 
          ④ ㉠ - 작을수록, ㉡ - 짫을수록 
          
Right Ans:- ① ㉠ - 넓을수록, ㉡ - 길수록 
          
          Q. 80. 그림에서 C1= 10[㎌], C2=20[㎌], C3=30[㎌]일 때 합성 정전 용량[㎌]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11/60 
          ② 60/11 
          ③ 11 
          ④ 6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60/11 
 
          
          Q. 81. 콘센트에 회로 시험기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실효값 200[V]를 지시하였다. 이 때, 최대값 [V]은 약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110 
          ② 200 
          ③ 283 
          ④ 38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283 
 
          
          Q. 82. 그림에서 R1 =20[Ω], R2=30[Ω]이고, 전압 V=120[V]를 가하였다면 회로에 흐르는 전체 전류 I[A]는 얼마인가?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2 
          ③ 5 
          ④ 10 
          
Right Ans:- ④ 10 
          
          Q. 83. 내부 저항이 0.1[Ω], 전압이 1.5[V]인 건전지 10개를 직렬로 연결한 후, 2[Ω]의 저항과 연결하였다. 흐르는 전류[A]는? 
          ① 1 
          ② 3 
          ③ 5 
          ④ 7 
          
Right Ans:- ③ 5 
 
          
          Q. 84. 그림에서 3[Ω]에 흐르는 전류[A]는 얼마인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2 
          ② 4 
          ③ 6 
          ④ 8 
          
Right Ans:- ② 4 
          
          Q. 85. 그림은 계측기 눈금판의 기호이다. 다음 중에서 해당되는 것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유도형 
          ② 전류력계형 
          ③ 가동 코일형 
          ④ 가동 철편형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가동 철편형 
          
          Q. 86. 어느 콘덴서에 그림과 같이 적혀 있었다. 이 콘덴서의 용량[㎌]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10[㎌] 
          ② 1[㎌] 
          ③ 0.1[㎌] 
          ④ 0.01[㎌] 
          
Right Ans:- ④ 0.01[㎌] 
          
          Q. 87. 10[Ω]의 저항 5개를 병렬로 연결하였다. 합성 저항[Ω]은? 
          ① 2 
          ② 5 
          ③ 10 
          ④ 50 
          
Right Ans:- ④ 50 
          
          Q. 88. 10[Ω]의 저항에 2.5[A]의 전류를 흐르게 하려면 몇[V]의 전압이 필요한가? 
          ① 10 
          ② 20 
          ③ 25 
          ④ 3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25 
          
          Q. 89. 회로 시험기(Tester)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사항들을 측정하였다. 다음 중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? 
          ① 전압 
          ② 전류 
          ③ 전력 
          ④ 저항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력 
          
          Q. 90. 3[Ω] 저항이 5개, 5[Ω] 저항이 5개, 10[Ω] 저항 2개를 전부 직렬로 연결하였다. 합성 저항[Ω]은? 
          ① 20 
          ② 40 
          ③ 50 
          ④ 60 
          
Right Ans:- ④ 60 
          
          Q. 91. 다음 그림에서 R1=20[Ω], R2=30[Ω], R3=50[Ω], R4=100[Ω]이고 전압을
            200[V] 인가하였다. R3에 걸리는 전압 V3[V]는? 
          
          ① 20 
          ② 30 
          ③ 50 
          ④ 9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50 
          
          Q. 92. 전력량의 단위로 옳은 것은? 
          ① [Wh] 
          ② [V] 
          ③ [A] 
          ④ [W] 
          
Right Ans:- ① [Wh] 
          
          Q. 93. 0.1[A]는 몇[㎃]인가? 
          ① 10 
          ② 100 
          ③ 1000 
          ④ 10000 
          
Right Ans:- ② 100 
          
          Q. 94. C1과 C2의 직렬 회로에 V[V]의 전압을 가할 때 C1, C2에 걸리는 전압으로 옳은 것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
 
          ② 
 
          ③ 
 
          ④ 
 
          Right Ans:- ② 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95. 그림은 트랜지스터의 기호이다. 다음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캐소드(cathode) 
          ② 이미터(emitter) 
          ③ 베이스(base) 
          ④ 컬렉터(collector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캐소드(cathode) 
          
          Q. 96. 일반적으로 교류 회로의 전력은 평균 전력 P=VIcosθ[W]로 나타낸다. 여기서 cosθ가 의미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전압(voltage) 
          ② 전류(electric current) 
          ③ 역률(power factor) 
          ④ 주파수(frequency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역률(power factor) 
          
          Q. 97. 호도법으로 [rad]를 도수법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30° 
          ② 45° 
          ③ 60° 
          ④ 90° 
          
Right Ans:- ② 45° 
          
          Q. 98. 그림의 회로에서 양단에 20[V]를 가하였다. 틀린 것은? 
          
          ① 합성 저항 R
0= 5[Ω]이다. 
          ② 회로에 흐르는 전체 전류는 4[A]이다. 
          ③ 10[Ω]에 흐르는 전류는 0.8[A]이다. 
          ④ 2.5[Ω]에 흐르는 전류는 2.2[A]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2.5[Ω]에 흐르는 전류는 2.2[A]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99. 그림의 기호는 전기 회로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? 
          
          ① 직류 전원 
          ② 교류 전원 
          ③ 전동기 
          ④ 발전기 
          
Right Ans:- ② 교류 전원 
          
          Q. 100. 다음 중 저항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? 
          ① 탄소 피막 저항기 
          ② 솔리드 저항기 
          ③ 금속 피막 저항기 
          ④ 마일러 저항기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마일러 저항기 
          
          Q. 101. 다음 중 원자의 기본구조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분자 
          ② 핵 
          ③ 양자 
          ④ 중성자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분자 
          
          Q. 102. 다음 중 단일 소자 반도체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실리콘(silicon) 
          ② 게르마늄(germanium) 
          ③ 카본(carbon) 
          ④ 동(copper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동(copper) 
          
          Q. 103. 다음 중 n형 반도체에서 5가 불순물 원자를 첨가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비소(As) 
          ② 인(P) 
          ③ 안티몬(Sb) 
          ④ 알미늄(Al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알미늄(Al) 
          
          Q. 104. 다음 중 n형 반도체에 다수 캐리어(carrier)는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전도전자 
          ② 양자 
          ③ 가전자 
          ④ 정공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전도전자 
          
          Q. 105. 다음 중 LED(light emitting diode)의 역할은? 
          ① 역방향 바이어스(bias)일 때 광을 방출한다. 
          ② 역방향 바이어스(bias)일 때 광을 감지한다. 
          ③ 순방향 바이어스(bias)일 때 광을 방출한다. 
          ④ 순방향 바이어스(bias)일 때 광을 감지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순방향 바이어스(bias)일 때 광을 방출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06. 다음 중 고주파에서와 고속 스위칭 응용에 사용되는 다이오드는? 
          ① 레이저 다이오드(laser diode) 
          ② 제너 다이오드(zener diode) 
          ③ 터널 다이오드(tunnel diode) 
          ④ 쇼트키 다이오드(schottky diode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쇼트키 다이오드(schottky diode) 
          
          Q. 107. 다음 중 부성저항 특성을 가진 다이오드는 어느 것인가? 
          ① 터널 다이오드(tunnel diode) 
          ② 제너 다이오드(zener diode) 
          ③ 레이저 다이오드(laser diode) 
          ④ 발광 다이오드(light emitting diode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터널 다이오드(tunnel diode) 
          
          Q. 108. 다음 중 전압 안정화에서 제너다이오드의 음극은 정상적으로 어떻게 되는가? 
          ① 양극보다 더 양이 된다. 
          ② 양극보다 더 음이 된다. 
          ③ +0.7V이다. 
          ④ 정지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양극보다 더 양이 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09. 다음 중 역방향 전압에 따른 가변 정전용량 다이오드는? 
          ① 버랙터 다이오드(varactor diode) 
          ② 제너 다이오드(zener diode) 
          ③ 레이저 다이오드(laser diode) 
          ④ 발광 다이오드(light emitting diode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버랙터 다이오드(varactor diode) 
          
          Q. 110. 다음 중 바이폴라 트랜지스터(bipolar transistor)의 3단자는? 
          ① npn 
          ② pnp 
          ③ 입력, 출력, 접지 
          ④ 이미터(emitter), 컬랙터(collector), 베이스(base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이미터(emitter), 컬랙터(collector), 베이스(base) 
          
          Q. 111. 다음 중 차단과 포화에서 동작될 때 트랜지스터(transistor)는 무엇처럼 동작하는가? 
          ① 선형증폭기 
          ② 가변용량 
          ③ 가변저항 
          ④ 스위치(switch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스위치(switch) 
          
          Q. 112. 다음 중 실리콘(silicon) BJT(bipolar transistor)의 순방향 바이어스(bias)된 베이스(base)이미터(emitter) 접합 양단 전압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0V 
          ② 0.5V 
          ③ 0.7V 
          ④ 1.0V 
          
Right Ans:- ③ 0.7V 
          
          Q. 113. 다음 중 트랜지스터(transistor)가 도통하지 않은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? 
          ① 차단(cut off) 
          ② 포화(saturation) 
          ③ 이득(gain) 
          ④ 선형(linear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차단(cut off) 
          
          Q. 114. 다음 중 트랜지스터(transistor) 베이스 바이어스(base bias)의 결점은? 
          ① 매우 복잡하다. 
          ② 이득을 낮게 만든다. 
          ③ 큰 누설전류를 만든다. 
          ④ 아주 β에 의존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아주 β에 의존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15.다음 중 공통 베이스(base)증폭기의 입력저항은? 
          ① 매우 높다. 
          ② 매우 낮다. 
          ③ 같다. 
          ④ 무한대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매우 낮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16. 다음 중 다이리스터(thyristor)는 몇 개의 pn접합을 갖는가? 
          ① 1개 
          ② 2개 
          ③ 3개 
          ④ 4개 
          
Right Ans:- ③ 3개 
          
          Q. 117. 다음 중 SCR(silicon-controlled rectifier)이 쇼클리 다이오드(shockley diode)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강제적 전환 
          ② 게이트(gate) 단자를 가짐 
          ③ 4층 구조를 갖지 않음 
          ④ 다이리스터(thyristor)가 아님 
          
Right Ans:- ③ 4층 구조를 갖지 않음 
          
          Q. 118. 다음 중 광 SCR(silicon-controlled rectifier)은 무엇에 대해 반응하는가? 
          ① 전류 
          ② 전압 
          ③ 습기 
          ④ 빛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빛 
          
          Q. 119. 다음 중 SCR(silicon-controlled rectifier)은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저전력 소자 
          ② 4층 다이오드(diode) 
          ③ 고전류 소자 
          ④ 양방향성 
          
Right Ans:- ② 4층 다이오드(diode) 
          
          Q. 120. 다음 중 트라이액(triac)은 어떠한 소자인가? 
          ① 양방향성 SCR(silicon-controlled rectifier)과 유사함 
          ② 4단자 소자 
          ③ 고전류 소자 
          ④ 2층 다이오드(diode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양방향성 SCR(silicon-controlled rectifier)과 유사함 
          
          Q. 121. 다음 중 트라이액(triac)에서 게이트(gate) 단자는 어떻게 구성되는가? 
          ① 1개의 게이트만 있다. 
          ② 3개의 게이트 단자가 있다. 
          ③ 4개의 게이트 단자가 있다. 
          ④ 공통게이트 단자가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공통게이트 단자가 있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22. 다음 중 포토 트랜지스터(photo transistor)에서 베이스(base)전류는 어떻게 유지되는가? 
          ① 바이어스(bias)전압에 의하여 유지 
          ② 빛과 직접 비례하여 유지 
          ③ 빛에 반비례하여 유지 
          ④ 해당사항 없음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빛과 직접 비례하여 유지 
          
          Q. 123. 다음 중 UJT(unijunction transistor)의 특성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부저항성 
          ② 첨두점 전압 
          ③ 양방향성 도통 
          ④ 진성이탈비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양방향성 도통 
          
          Q. 124. 다음 중 직접 회로(integrated circuit)의 특징으로 옳지 못한 것은? 
          ① 소형이다. 
          ② 경제적이다. 
          ③ 신뢰성이 높다. 
          ④ 모든 수동 소자의 직접이 가능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모든 수동 소자의 직접이 가능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25. 다음 중 대규모 직접 회로(LSI : Large-Scale Intergrated)로 분류되는 것은? 
          ① 직렬/병렬 입 ․ 출력 레지스터 
          ② 십진 계수기 
          ③ 마이크로프로세서(microprocessor) 
          ④ 2진/16진 계수기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마이크로프로세서(microprocessor) 
          
          Q. 126. 다음 중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(OP Amp)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옳지 못한 것은? 
          ① 전압 이득이 무한대(Av= ∞)일 것 
          ② 대역폭아 무한대(Bw = ∞)일 것 
          ③ 오프 셋(off set) 전압이 1이어야 할 것 
          ④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일 것(R1 = ∞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오프 셋(off set) 전압이 1이어야 할 것 
          
          Q. 127. 다음 중 연산 증폭기(OP Amp)의 입출력 단자가 옳은 것은? 
          ① 2개의 입력과 1개의 출력 
          ② 1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 
          ③ 1개의 입력과 1개의 출력 
          ④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 
          
Right Ans:- ① 2개의 입력과 1개의 출력 
          
          Q. 128.다음 중 NAND게이트의 논리식은? 
          ① A+B 
          ② 
 + B 
          ③ A + 
 
          ④ 
+ 
 
          Right Ans:- ④ +  
          
          Q. 129. 다음 중 기본 논리식이 A○ ×B인 게이트(gate)는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AND 
          ② EX-OR 
          ③ NOR 
          ④ OR 
          
Right Ans:- ② EX-OR 
          
          Q. 130. 다음 중 Bool 대수가 틀린 것은? 
          ① A + 1 = 1 
          ② A▪0 = 0 
          ③ A + A = A 
          ④ A + 
 = 0 
          
Right Ans:- ④ A +  = 0 
          
          Q. 131. 외부 전원이 반드시 필요한 마이크(Microphone)는? 
          ① 다이나믹 마이크(Dynamic Microphone) 
          ② 리본 마이크(Ribbon Microphone) 
          ③ 콘덴서 마이크(Conderser Microphone) 
          ④ 일렉트레이트 마이크(Electret Microphone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콘덴서 마이크(Conderser Microphone) 
          
          Q. 132. 다음 마이크(Microphone)중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야외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마이크(Microphone)는? 
          ① 리본 마이크(Ribbon Microphone) 
          ② 다이나믹 마이크(Dynamic Microphone) 
          ③ 일렉트레이트 마이크(Electret Microphone) 
          ④ 콘덴서 마이크(Conderser Microphone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리본 마이크(Ribbon Microphone) 
          
          Q. 133. 학교 강당에서 강연회를 확성할 경우에 어떠한 마이크(Microphone)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가? 
          ① 헤미스페리칼(Hemispherical) 
          ② 단일 지향 마이크(Uni-directional Microphone) 
          ③ 무지향 마이크(Omni-directional Microphone) 
          ④ 양지향 마이크(Bi-directional Microphone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단일 지향 마이크(Uni-directional Microphone) 
          
          Q. 134. 스피커(Speaker) 품질에 영향을 주는 특성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재생 주파수 대역 
          ② 최대 출력 레벨 
          ③ 임피던스(Impedance) 
          ④ 진폭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진폭 
          
          Q. 135. 스피커(Speaker)에 100W를 입력했을 때, 10m 지점에서 음압 레벨이 100dB이며 스피커(Speaker)의 감도는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80dB 
          ② 97dB 
          ③ 100dB 
          ④ 120dB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00dB 
          
          Q. 136. 스피커(Speaker) 진동판에 의한 구분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콘 스피커(Cone Speaker) 
          ② 돔 스피커(Dome Speaker) 
          ③ 리본 스피커(Ribbon Speaker) 
          ④ 다이나믹 스피커(Dynamic Speaker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다이나믹 스피커(Dynamic Speaker) 
          
          Q. 137. 앰프(AMP) 회로 중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? 
          ① A급 
          ② AB급 
          ③ B급 
          ④ C급 
          
Right Ans:- ④ C급 
          
          Q. 138. 파워(POWER) 앰프(AMP) 모드 중에서 상대적으로 소비 전력이 가장 많은 것은? 
          ① A급 
          ② B급 
          ③ AB급 
          ④ C급 
          
Right Ans:- ① A급 
          
          Q. 139.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가 0.5Ω이고, 스피커 임피던스가 10Ω이면 댐핑(damping factor, DF)은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20 
          ② 30 
          ③ 40 
          ④ 60 
          
Right Ans:- ① 20 
          
          Q. 140. 음압 레벨(sound pressure level: SPL)의 단위는 무엇인가? 
          ① W 
          ② dB 
          ③ phon 
          ④ Hz 
          
Right Ans:- ② dB 
          
          Q. 141. 다음 중 파장(λ), 주파수(f)와 음속(c)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? 
          ① λ = c/f 
          ② λ = f/c 
          ③ λ = c/f
2 
          ④ λ = f
2/c 
          
Right Ans:- ① λ = c/f 
          
          Q. 142. 다음 중 1초 동안에 반복되는 사이클(cycle)의 수를 무엇이라 하는가? 
          ① 음속(sound speed) 
          ② 파장(wave length) 
          ③ 주파수(frequncy) 
          ④ 음파(sound wave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주파수(frequncy) 
          
          Q. 143. 다음 중 CCTV(Closed Circuit Television)구성의 4대 원칙으로 정의할 때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촬영부 
          ② 감시부 
          ③ 전송부 
          ④ 기록부 
          
Right Ans:- ④ 기록부 
          
          Q. 144. 다음 중 CCTV(Closed Circuit Television) 카메라의 전송방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무지향 신호전송 
          ② 불평형 신호전송 
          ③ 디지털(digital) 신호전송 
          ④ 평형 신호전송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무지향 신호전송 
          
          Q. 145. 다음 중 불평형 통신기법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유선 케이블(cable)은 어느 것인가? 
          ① 근거리 통신망 
          ② 전화망 
          ③ 동축케이블 
          ④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(twisted pair cable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동축케이블 
          
          Q. 146. 다음 중 고발포 케이블(cable)과 비교하여 ECX계열 동축케이블의 차이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? 
          ① 중심도선의 재질에 따른 저항에 많은 차이가 있다. 
          ② 실드(shield)의 저항이 높다. 
          ③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. 
          ④ 절연 저항이 낮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절연 저항이 낮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47. 다음 중 RS-232 EIA의 표준규격 통신에서 표준통신거리는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15M 
          ② 100M 
          ③ 500M 
          ④ 1200M 
          
Right Ans:- ① 15M 
          
          Q. 148. 다음 중 통신방식에서 보내고 받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식은? 
          ① 일방통신 
          ② 반이중통신 
          ③ 전이중통신 
          ④ 무선통신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이중통신 
          
          Q. 149. 다음 중 순간 정전이 되거나 전력이 끊어지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는? 
          ① 무정전 전원 공급기 
          ② 자동 전압 조절기 
          ③ 전연형 복권 트랜스 
          ④ 전용 파워(POWER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무정전 전원 공급기 
          
          Q. 150. 다음 중 TCP/IP를 이용한 CCTV 시스템 구현에서 필요 없는 장비는? 
          ① 스위칭 허브(switching hub) 
          ② 라우터(router) 
          ③ 네트워크 카메라(network cameras) 
          ④ 분배기(distributor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분배기(distributor) 
          
          Q. 151. 버스닥트의 종류에서 도중에 이동 부하를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은? 
          ① 피더(Feeder)버스닥트 
          ② 프러그인(Plug-in)버스닥트 
          ③ 트롤리(Trolley)버스닥트 
          ④ 프러그(Plug)버스닥트 
          
Right Ans:- ③ 트롤리(Trolley)버스닥트 
          
          Q. 152. 케이블 트레이(Cable Tray) 부속자재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레듀서(Reducer) 
          ② 엘보(Elbow) 
          ③ 라이자(Riser) 
          ④ 커넥터(Connector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커넥터(Connector) 
          
          Q. 153.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(CD)의 시공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을 고려한다. 
          ② 콘크리트에 매입될 때 건물의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게 바닥 두께의 2/3 이상은 배관하면 안 된다. 
          ③ 합성수지관은 지지점의 거리를 1.5[m] 이하로 한다. 
          ④ 합성수지제 가요관의 상호간 접속은 직접 접속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합성수지제 가요관의 상호간 접속은 직접 접속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54. 금속제 전선관(Conduit)의 시공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콘크리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배관을 2개 이하로 겹치게 한다. 
          ② 전선관의 최소 곡률 반경은 관의 반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한다. 
          ③ 전선관을 직각으로 굴곡하는 장소를 5개소 이하로 한다. 
          ④ 관의 길이가 30[m]을 넘을 때 박스를 사용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전선관을 직각으로 굴곡하는 장소를 5개소 이하로 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55. 분기회로 산정 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전등과 콘센트 회로는 분리한다. 
          ② 분기회로 전선의 길이는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20[m] 이하로 한다. 
          ③ 같은 스위치로 점멸 되는 전등은 같은 회로로 한다. 
          ④ 분기회로는 별도의 분기 차단기를 설치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분기회로 전선의 길이는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20[m] 이하로 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56. 감전 위험 요소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통전전류의 크기 
          ② 통전시간 
          ③ 통전경로 
          ④ 통전장소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통전장소 
          
          Q. 157. 감전 현상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호흡정지 
          ② 심장마비 
          ③ 근육이완 
          ④ 추락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근육이완 
          
          Q. 158. 전기감전에서 통전경로별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? 
          ① 왼손-가슴 
          ② 오른손-가슴 
          ③ 양손-양발 
          ④ 왼손-오른손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왼손-가슴 
          
          Q. 159. 우리나라는 몇[V]를 안전전압으로 규정하는가? 
          ① 10 
          ② 20 
          ③ 30 
          ④ 4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30 
          
          Q. 160.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감전보호 
          ② 누전화재 보호 
          ③ 전기설비 및 전기기 보호 
          ④ 절연보호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절연보호 
          
          Q. 161.케이블을 나선형으로 꼬아 놓은 형태이며, 전자기 간섭을 막기 위한 별도의 피복이 없는 전선은? 
         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② FTP(foil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④ FSTP(foiled 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          Q. 162. 전체 케이블에 피복을 씌운 케이블의 명칭은? 
         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② FTP(foil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④ FSTP(foiled 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Right Ans:- ② FTP(foiled twisted pair) 
          
          Q. 163. 전체 케이블에 피복을 씌우고 각각의 나선형 케이블 쌍에도 피복을 씌운 케이블의 명칭은? 
         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② FTP(foil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④ FSTP(foiled 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Right Ans:-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          Q. 164. 카테고리 4의 통신용량은? 
          ① 4Mbps 
          ② 10Mbps 
          ③ 16Mbps 
          ④ 100Mbps 
          
Right Ans:- ③ 16Mbps 
          
          Q. 165. 카테고리 5의 통신용량은? 
          ① 4Mbps 
          ② 10Mbps 
          ③ 16Mbps 
          ④ 100Mbps 
          
Right Ans:- ④ 100Mbps 
          
          Q. 166.광대역 동축 케이블(broadband coaxial cable)의 저항 값[Ω]은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35 
          ② 45 
          ③ 55 
          ④ 75 
          
Right Ans:- ④ 75 
          
          Q. 167. 기저 대역 동축 케이블(baseband coaxial cable)의 저항 값[Ω]은 얼마인가? 
          ① 30 
          ② 40 
          ③ 50 
          ④ 70 
          
Right Ans:- ③ 50 
          
          Q. 168. 동축 케이블(coaxial cable)의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대역폭이 넓다. 
          ② 전송 속도가 빠르다. 
          ③ 전기적 간섭이 적다. 
          ④ 이중 나선 케이블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고 설치가 쉽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이중 나선 케이블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고 설치가 쉽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69. 동축 케이블의 용도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광대역 전송로로 사용된다. 
          ② 장거리 전화 및 TV전송 
          ③ TV 신호 분배 
          ④ 장거리 시스템 링크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장거리 시스템 링크 
          
          Q. 170. 광섬유 케이블(optical fiber cable)의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대역폭이 넓다.(3.3[GHz]) 
          ② 외부 간섭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. 
          ③ 네트워크 보안성이 크다. 
          ④ 데이터 전송속도는 100[Gbps]정도이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데이터 전송속도는 100[Gbps]정도이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71. 광섬유 케이블(optical fiber cable)의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설치 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. 
          ② 고속데이터 전송과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. 
          ③ 싱글모드는 20[km]까지 전송할 수 있다. 
          ④ 멀티모드는 20[km]까지 전송할 수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멀티모드는 20[km]까지 전송할 수 있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72. 정보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단방향(simplex)통신 방식 
          ② 반이중(half duplex)통신 방식 
          ③ 전이중(full duplex)통신 방식 
          ④ 장 방향(long)통신 방식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장 방향(long)통신 방식 
          
          Q. 173.정보전송에서 직렬 전송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전송속도가 느리다. 
          ② 전송로 비용이 저렴하다. 
          ③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. 
          ④ 직․병렬 변환회로가 필요 없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직․병렬 변환회로가 필요 없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74.정보전송에서 병렬 전송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전송속도가 빠르다. 
          ② 전송로 비용이 비싸다. 
          ③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. 
          ④ 직․병렬 변환회로가 필요 없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75.네트워크 사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네트워크 관리자가 분산된 시스템을 한 위치에서 중앙 제어할 수 있다. 
          ② 원하는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. 
          ③ 원격지에 있는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. 
          ④ 프린터나 스캐너 같은 고가의 장비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③ 원격지에 있는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76. 사무실, 학교 등의 일정 지역 내에 분산 되어 있는 주변기기, 워크스테이션 등의 자원을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, 저장, 처리하는 통신망으로 약 10[km]거리 내 에서
            10[Mbps]정도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통신방식은? 
          ① LAN 
          ② WAN 
          ③ MAN 
          ④ VAN 
          
Right Ans:- ① LAN 
          
          Q. 177. 정보의 전송교환 방식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회선교환(circuit switching) 
          ② 메시지 교환(message switching) 
          ③ 패킷 교환(packet switching) 
          ④ 다중교환(multiple switching)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다중교환(multiple switching) 
          
          Q. 178. 주로 전화선이나 근거리 통신망에 사용되는 전선은? 
         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② Coaxial Cable 
         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④ Optical Fiber Cable 
          
Right Ans:-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          Q. 179.토큰링(Token-ring)형 근거리 통신망에 주로 사용되는 통신망은? 
          ①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② Coaxial Cable 
         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④ Optical Fiber Cable 
          
Right Ans:- ③ STP(shielded twisted pair) 
          
          Q. 180. 트위스트 페어(twisted pair) 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(Coaxial Cable)과 비교할 때 광케이블(Optical Fiber Cable)의 특징이 아닌 것은?
          
          ① 넓은 대역폭 
          ② 작은 크기와 적은 무게 
          ③ 보다 큰 감쇄도 및 넓은 리피터 설치 간격 
          ④ 전자기적 격리 
          
Right Ans:- ③ 보다 큰 감쇄도 및 넓은 리피터 설치 간격 
          
          Q. 181. 정보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서비스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음성 통신 
          ② 데이터 통신 
          ③ 화상 통신 
          ④ E-mail 서비스 통신 
          
Right Ans:- ④ E-mail 서비스 통신 
          
          Q. 182. 정보통신 표준화 기구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ISO 
          ② ITU-T 
          ③ IEEE 
          ④ ANCI 
          
Right Ans:- ④ ANCI 
          
          Q. 183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성(Star)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보수와 관리가 용이하다. 
          ② 전송제어 기능이 간단하다. 
          ③ 각 단말의 전송속도에 차이를 줄 수 있다. 
          ④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하나 견고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하나 견고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4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링(Ring)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공평한 통신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. 
          ② 통신회선이 장애가 날 때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. 
          ③ 양방향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. 
          ④ 전체적인 통신 처리량이 증가한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전체적인 통신 처리량이 증가한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5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링(Ring)형의 단점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단말기 증가가 어렵다. 
          ② 전체적인 통신처리량이 증가한다. 
          ③ 하나의 단말고장이 전체의 통신망에 영향을 준다. 
          ④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6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버스(Bus)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통신회선이 1개이므로 물리적 구조가 간단하다. 
          ② 단말의 증가와 삭제가 용이하다. 
          ③ 단말의 고장이 통신망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통신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. 
          ④ 방송모드이므로 경로 제어가 필요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방송모드이므로 경로 제어가 필요하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7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버스(Bus)형의 단점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기밀 보장이 어렵다. 
          ② 노드수가 많아지면 망의 부하가 커져 성능이 저하한다. 
          ③ 통신제어 기능을 가지므로 처리량이 증가한다. 
          ④ 중앙 제어형에서는 우선순위 제어가 어렵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④ 중앙 제어형에서는 우선순위 제어가 어렵다. 
          
          Q. 188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모든 데이터가 제어 노드를 중심으로 라우팅되므로 중개 과정이 간단한 정보 통신망은? 
          ① 트리(Tree)형 
          ② 그물(Mesh)형 
          ③ 버스(Bus)형 
          ④ 망(Ring)형 
          
Right Ans:- ① 트리(Tree)형 
          
          Q. 189.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(Topology) 방식 중 중앙호스트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의 동작에 영향을 많이 주는 정보통신 방식은? 
          ① 트리(Tree)형 
          ② 그물(Mesh)형 
          ③ 버스(Bus)형 
          ④ 망(Ring)형 
          
Right Ans:- ① 트리(Tree)형 
          
          Q. 190 . 정보통신망의 이용 분야가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정보 검색 
          ② 금융 서비스 
          ③ 고속 로밍 기능 
          ④ E-mail 
          
Right Ans:- ③ 고속 로밍 기능 
          
          Q. 191. 통신망 아키텍쳐(Network Architecture)의 목적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집중된 컴퓨터나 단말간의 정보교환 
          ② 컴퓨터 자원의 공동이용 
          ③ 컴퓨터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 
          ④ 분산처리에 따른 비용 성능비의 향상 
          
Right Ans:- ① 집중된 컴퓨터나 단말간의 정보교환 
          
          Q. 192 . 정보전송 기술에서 신호선과 공통접지선 4개로 구성된 통신회선은? 
          ① 2선식 
          ② 4선식 
          ③ 6선식 
          ④ 8선식 
          
Right Ans:- ① 2선식 
          
          Q. 193. 통신회선의 접속 방식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점-대-점 방식(Point-to-point)방식 
          ② 단방향 전송(Simplex)방식 
          ③ 집선(Concentration)방식 
          ④ 다중화(Multiplexing)방식 
          
Right Ans:- ② 단방향 전송(Simplex)방식 
          
          Q. 194. 핸드폰, PDA, 노트북과 같은 정보기기들 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전송거리는 10~100[m] 까지 가능한 것은? 
          ① Bluetooth 
          ② Zigbee 
          ③ UWB 
          ④ IrDA 
          
Right Ans:- ① Bluetooth 
          
          Q. 195. UWB(Ultra Wide Band)의 기술적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고속 전송의 실현 
          ② 극히 짧은 펄스를 이용한 송수신 
          ③ Channel Capacity 
          ④ 기존 협대역 시스템의 공유 
          
Right Ans:- ① 고속 전송의 실현 
          
          Q. 196. 무선통신 기술에서 셀룰라 엔지니어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? 
          ① 이동체가 교환기의 특정 단자에 수용되지 않으므로 경로 선택에 특별한 기능이 필요하다. 
          ② 사용되는 주파수대가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. 
          ③ 무선통신 방식이므로 페이딩을 극복하는 방식 및 제어 프로토콜이 필요하다. 
          ④ 회선을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하고 있고 또 이용자가 이동하고 있으므로 이동측의 호출 그리고 통화료 부과 등에 일반전화와 다른 기술이 필요하다. 
          
Right Ans:- ② 사용되는 주파수대가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. 
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Q. 197. 무선통신 기술에서 무선망과 인터넷이 통합되어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로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? 
          ① UWB 
          ② WiBro 
          ③ Bluetooth 
          ④ Zigbee 
          
Right Ans:- ② WiBro 
          
          Q. 198. GPS 위성을 사용한 동기화 방식을 사용하는 비동기식은 위성을 이용하지 않고 기지국과 중계국간 동기화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IMT 2000 동기식 
          ② 뮤선 LAN 
          ③ Bluetooth 
          ④ Zigbee 
          
Right Ans:- ① IMT 2000 동기식 
          
          Q. 199. WCDMA와 cdma2000으로 대별되는 3G 이동 통신과 4G 이동통신의 중간에 해당되는 기술은? 
          ① LTE(Long Term Evolution) 
          ② HAR(Home Location Register) 
          ③ AMC(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) 
          ④ H-ARQ(Hybrid-ARQ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LTE(Long Term Evolution) 
          
          Q. 200. 무선통신 기술에서 전송할 때 여러 개의 안테나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보내고 수신단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로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무선 채널 특성을 찾아내어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
            하는 것은? 
          ① MIMO(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) 
          ② LTE(Long Term Evolution) 
          ③ HAR(Home Location Register) 
          ④ AMC(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) 
          
Right Ans:- ① MIMO(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)